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과도하고 통제하기 어려운 침투사고’를 핵심증상으로 가지는 범불안장애와 강박장애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침투사고를 걱정, 반응성 강박사고, 자생성 강박사고로 구분하고 이들이 인지적 평가와 통제방략에서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17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직접 경험한 세 가지 침투사고에 대해 연구자가 개발한 대처 과정 질문지를 사용하여 질문하였다. 그 결과 세 침투사고 모두 사고의 중요성이 높게 평가되지만, 걱정과 반응성 강박사고의 경우에는 사고가 부정적 사건을 방지하고, 현실 사건을 반영하며, 행위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높게 평가되는 반면에, 자생성 강박사고는 사고가 행위와 도덕적으로 동일하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평가된다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걱정과 반응성 강박사고는 공통적으로 발생가능성 및 인과적 책임감이 높게 평가되고 직면 방략이 우세하게 사용되는 반면, 자생성 강박사고는 불수용성, 도덕적 책임감이 높게 평가되며 회피 방략이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걱정과 반응성 강박사고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우선 걱정이 반응성 강박사고에 비해 불수용성 평가가 크고 유관성이 적게 지각됨으로써 사고통제의 중요성이 보다 높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반응성 강박사고의 경우 회피 방략이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환경통제 등의 직면 방략을 높게 사용하는 반면, 걱정에서는 회피 방략도 유의하게 많이 사용되며 직면 방략 중에서는 사회통제나 재평가가 많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침투사고 대처과정 연구에 있어 사고 중요성 평가와 다양한 통제방략 차원을 추가함으로써, 걱정과 반응성 강박사고 및 자생성 강박사고 간의 독특한 대처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Generalized anxiety disorder(GAD)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OCD) both share ‘excessive, uncontrolled intrusive thought’ as their main symptom.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AD and OCD, the present study's aim is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appraisal and control strategies regarding three intrusive thoughts - worries, reactive obsessions, and autogenous obsessions. In this study, coping processes for the three subtypes of intrusive thoughts that has been experienced were tested by 174 college students. All three subtypes of intrusive thoughts were found to have importance of thought. But in two of the subtypes - worries and reactive obsessions, thoughts were important because they prevent negative events, reflect real events, and lead to actual behaviors. On the other hand, thoughts were of great importance in autogenous obsessions, because thoughts themselves were considered to be equal with actual behavior and morality. In addition, while both worries and reactive obsessions had high scores of probability and causal responsibility, autogenous obsessions had scored high on disapproval and moral responsibility.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orries and reactive obsessions were also found, since worries were found to have higher disapproval scores and lower contingency and therefore higher control of thought. This is why confrontation strategies such as environment control has been used instead of avoidance strategies for reactive obsessions. In contrast, avoidance strategies and confrontation strategies such as social control or reappraisal had been used for worrie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oughts and a variety of control strategies led this study to seek out specific coping processes of worries, reactive obsessions, and autogenous obses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