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신체상 위협상황에서 대처전략을 측정할 수 있는 한국판 신체상 대처전략 척도(The Korean Version of the Body Image Coping Strategies Inventory: K-BICSI)를 사용하여 회피 대처전략을 사용하는 정도에 따라 고 회피집단(N=12)과 저 회피집단(N=12)으로 구분하여 실험참가자를 모집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외모 관련 자극이 제시되었을 때 달라지는 주의편향과 자극제시 전후의 정서변화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실험 참가자는 여대생 24명으로, 안구운동 추적장비의 최초응시방향과 응시시간을 이용해 주의편향을 확인했으며, 정서변화는 VAS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고 회피집단은 저 회피집단에 비해 매력자극에 대해서 유의미하게 긴 응시시간을 보였고, 외모관련 자극제시 전보다 후에 더 유의미하게 정서가 부정적으로 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고 회피집단은 저 회피집단과는 다른 주의 인지기제를 가지고 있으며 외모관련 자극에 정서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attentional bias and emotional change of coping strategy user when appearance-related stimuli presented. Participants were 24 female college students and divided into two groups(high-avoidance group, N=12; low-avoidance group, N=12) by K-BICSI(The Korean Version of the Body Image Coping Strategies Inventory). Attentional bias was measured by eye-tracker and analyzed the initial fixation direction and gaze duration time. Emotional change was measured by VAS. High-avoidance group indicated significantly longer gaze time to attractive stimuli than low-avoidance group did. And their feeling changed negatively when after presenting of appearance-related stimuli than before presenting. From these results, it was identified that high-avoidance group had different attention mechanism and were emotionally sensitive compared to low-avoidance group. In future studies, it will be helpful for preventing and treatment of eating disorder to measure various aspects of the cognitive mechanism and emotional change in avoidance coping strategy u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