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영재판별을 받은 아동들의 인지적 특성과 과흥분성에 관해 KEDI-WISC와 TTCT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아동은 영재판별검사를 받고자 내원한 아동들 가운데 1차로 영재행동특성 질문지에서 해당규준에 충족되어 선별된 후, 개별화된 지능검사에서 IQ 130 이상으로 최종 영재판별을 받은 24명(평균 연령 8.08세)이었다. 이들에게 지능검사(KEDI-WISC), 창의성 검사(TTCT)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한국아동인성검사(KPI-C),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자료는 아동의 부모로부터 얻었다. 영재집단의 고유한 인지적 특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영재행동특성 질문지의 해당규준에 충족되었으나 지능검사에서 IQ 130 미만으로 우수집단으로 분류된 아동과 지능지수 및 소검사들을 비교한 결과, 영재집단은 기존연구와 마찬가지로 언어성 지능이 동작성 지능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토막짜기, 상식, 어휘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고, 빠진곳찾기, 차례맞추기, 기호쓰기 검사에서는 유의한 점수차이가 없었다. 또한 영재집단은 우수집단에 비해 영재행동특성과 창의성검사의 영역별 점수가 높았으나, 유의미한 정도의 차이는 없었다. 영재아동의 비지적 특성 중 과흥분성에 대한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영재집단과 평균 지능을 지닌 ADHD집단의 인지적 특성과 행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영재와 ADHD는 모두 토막짜기에서 우수한 수행을, 차례맞추기, 빠진곳찾기 검사에서 낮은 수행을 보여 유사한 점을 드러냈다. 영재집단을 산만영재집단과 비산만영재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는데, 지능 소검사들 중 공통성에서만 비산만영재집단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고, 기호쓰기에서는 비산만 영재집단이 더 높은 점수를 얻는 경향성만을 보였다. 또한 창의성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아동들이 다른 아동들에 비해 더 과잉활동을 보인다는 선행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두 집단 간 창의성 검사점수를 비교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영재행동특성간의 차이도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overexcitability of the gifted children in KEDI-WISC and TTCT. The subjects were 24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scored above 130 points on KEDI-WISC, which was considered as gifted children. KEDI-WISC and TTCT were given to gifted children and KPI-C, demographic questionnaire were acquired from their parents. To investigate peculiar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FSIQ, VIQ, PIQ and 10 subtest measures of KEDI-WISC were compared among 1)gifted(n=24), 2)superior(n=13) and 3)ADHD(n=18). The result was shown that gift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level on block design, information and vocabulary of KEDI-WISC than the other two groups, but picture completion, picture arrangement, digit symbol of KEDI-WISC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other groups. Based on previous study of overexcitability of gifted children, gifted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was inattentive and non-inattentive group. Non-inattentiv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similarity test of KEDI-WISC than inattentive group, and they also showed higher score on digit symbol test which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previous creativity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children who have higher scores of creativity test are more hyperactivity than other children. However, inattentive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non-inattentive group on TTCT score. Finally,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