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부부 의사소통패턴이 결혼만족도를 어느 정도 설명해 줄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 의사소통패턴과 남편과 아내의 특징적 갈등대처방식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의사소통패턴, 정서중심대처, 문제중심대처 및 자아방어기제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편과 아내는 공통적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연령, 학력, 자녀수 및 결혼기간이 결혼만족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고, 아내의 경우 이러한 변인과 함께 가족형태가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상호 건설적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상호 회피적 의사소통이 가장 높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남편요구-아내철회 의사소통에 비해 아내요구-남편철회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와 더 높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변인, 부부 의사소통패턴, 정서중심대처, 문제중심대처 및 자아방어기제가 결혼만족도를 어느 정도 설명하는가를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패턴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넷째, 남편의 경우 갈등대처방식은 결혼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설명해 주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진 반면, 아내의 경우 정서중심대처와 자아방어기제가 결혼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내의 부부의사소통패턴을 정서중심대처와 자아방어기제가 어느 정도 설명해 줄 수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 상호건설 의사소통은 분노조절, 수동공격이 유의미하게 설명하였으며, 상호회피 의사소통은 행동화, 타협, 수동공격이, 그리고 아내요구-남편철회 의사소통은 긍정적 해석이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arital communication pattern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influence of conflict coping strategies on functional, dysfunctional marital communication patterns. For this purpose, marital satisfaction, couple communication pattern, emotion focused coping, problem focused coping and ego defense mechanism were measured.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arital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various demographic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children, education, marital durations, family size(for wives), and age. (2) Marital satisfaction positively related to constructive communication pattern, whereas negatively related to avoidant and demand-withdraw pattern. (3) In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as not influenced by the conflict coping strategies. Whereas in wives, marital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emotion focused coping and ego defense mechanism. (4) In wives, anger control, passive-aggressive behavior influenced to constructive communication pattern and acting out, passive-aggressive behavior, compromise influenced to avoidant communication pattern. Wife demand-husband withdraw pattern was influenced to positive interpretation. (5) Finall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