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MoCA)는 원래 경도인지장애를 선별하는 검사로서 개발되었으나 NINDS-CSN 혈관성 인지장애 표준화 기준(VCIHS) 위원회(Hachinski et al., 2006)는 MoCA를 혈관성 인지장애(VCI)를 평가하는 표준 신경심리검사도구의 일부로 지정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VCIHS” 연구의 일환으로서 한국판 MoCA (K-MoCA)를 한국 문화와 언어적 특성을 고려한 문항들로 새롭게 구성하고, K-MoCA가 VCI의 선별검사로서 신뢰롭고 타당한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82명의 뇌졸중환자(평균나이 71.05±9.53세, 평균 교육년수 7.53±5.01년)와 나이와 학력이 대응이 되고 Christensen 등(1991)의 건강선별기준에 합당한 81명의 정상노인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뇌졸중 환자들은 K-MoCA, K-MMSE 및 종합적인 신경심리학적 평가를 받았고 신경심리학적 평가결과와 일상생활기능척도의 결과를 종합하여 CDR이 0으로 평정된 2명을 제외한 후, CDR이 0.5로 평정된 36명을 “혈관성 인지장애가 있으나 치매가 아닌 집단(VCI-ND)”으로, CDR이 1.0이상인 44명을 혈관성치매집단(VD)으로 분류하였다. 정상노인들도 K-MoCA와 K-MMSE 검사를 받았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이들 중 29명에게는 4주 후에 K-MoCA를 다시 실시하였다. K-MoCA의 내적일치도(Cronbach's α=.84)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매우 높았다(ICC=.85, p<.001). K-MoCA는 VD(r=.90, p<.001), VCI-ND(r=.84, p<.001) 및 정상노인집단(r=.79, p<.001) 모두에서 K-MMSE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Receiver Operating Curve(ROC) 분석결과 K-MoCA는 VCI 집단과 정상집단을 잘 변별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AUC=.80, p<.001). 더욱이 K-MoCA는 정상노인과 VD(AUC=.90, p<.001)뿐만 아니라 정상노인과 VCI-ND(AUC=.67, p<.01)도 잘 변별할 수 있고, K-MMSE보다 VCI-ND를 더 민감하게 탐지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K-MoCA가 VCI-ND와 VD를 모두 포함하는 VCI를 선별하는데 있어 신뢰롭고 타당한 인지기능검사임을 입증하며 K-MoCA가 특히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경한 수준의 초기 인지기능장애를 선별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끝으로, 교육수준과 나이에 따라 세분화된 K-MoCA의 정상인 규준을 제시하였고, 외국 규준과의 차이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 was originally developed as a brief screening tool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However, the NINDS-CSN Vascular Cognitive Impairment Harmonization Standardization working group (Hachinski et al., 2006) suggested that the MoCA would also be a useful instrument for vascular cognitive impairment (VCI).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newly developed Korean version of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K-MoCA) as an instrument for screening of VCI. Eighty-two stroke patients (mean age=71.05±9.53 years, mean education=7.53±5.01 years) with confluent white matter lesions were given the K-MoCA and the K-MMSE with a comprehensive neuropsychological test battery. Among the patients, 36 had a CDR score of 0.5 (Vascular Cognitive Impairment No Dementia, VCI-ND), and 44 had a score of 1.0 or more (Vascular Dementia, VD). Eighty-one matched healthy normal controls (mean age=69.33±8.75 years, mean education =8.14±4.60 years) who met Christensen's health criteria (Christensen et al., 1991) were recruited from the community and were given the K-MoCA and K-MMSE. The K-MoCA was re-administered to 29 normal subjects with a 4-week interval for assessing the test-retest reliability. Strong correlations between the K-MoCA and the K-MMSE were found in VD (r=.90, p<.001), VCI-ND (r=.84, p<.001), and normal controls (r=.79, p<.001). Receiver Operating Curve (ROC) analysis showed that the K-MoCA effectively differentiated stroke (VCI) patients from normal controls (AUC=.80, p<.001).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K-MoCA could differentiate the VCI-ND (AUC=.67, p<.01) as well as the VD (AUC=.90, p<.001) from normal controls, suggesting that the K-MoCA was more sensitive for detecting the VCI-ND than the K-MMSE (AUC=.63, p<.05). Both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K-MoCA were significantly high (Cronbach's α=.84; ICC=.85, p<.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K-MOCA can be used reliably for screening of VCI. The K-MoCA would help identify individuals in the early stage of cognitive impairment due to cerebrovascular problems. Finally, normative data for the elderly were also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