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정신과에 방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적용하여 한국판 IIP-PD의 요인구조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전의 연구에서 적합도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된 3개의 요인구조를 대안 모형으로 설정하여 293명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국판 IIP-PD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서로 상관이 있는 5개의 일차 요인으로 구성된 모형이 수집된 자료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는 5개의 일차 요인과 하나의 이차 요인으로 구성된 위계적 모형이 가장 적합하다는 외국의 선행 연구 결과와 달랐다. 한국의 경우 미국과는 달리 성격장애를 대표하는 잠재적 요인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여전히 ‘stage 1’에서 성격장애를 선별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문항조정 등을 통해서 성격장애를 측정하는데 효용성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겠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Interpersonal Problems Personality Disorder Scales(K-IIP-PD) by apply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psychiatric patients. To evaluate the goodness of fit of three alternative models taken from factor structures which had been previously reporte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K-IIP-PD with respect to a group of 239 patien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odel with five first-order intercorrelated factor was the best fit for the data. This result differed from previous US-based studies which had reported that a hierarchical model with 1 second-order factor and 5 first-order factors was the best fit. Unlike the US-based studies, potential factors representing character disorders were not found here: however it seems that the model will be useful in sorting character disorders in ‘Stage 1’, and its utility will be further developed in measuring the level of character disorders by modifying item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