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Beck 불안검사(Beck Anxiety Inventory, BAI)는 알코올의존환자들의 불안수준을 측정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알코올의존환자들을 대상으로 BAI의 요인구조를 밝힌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에서 제시된 다양한 대안 모형들의 적합도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786명의 남자 알코올의존환자들로터 수집된 한국판 BAI 자료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정된 위계적 4요인모형이 남자 알코올의존환자의 자료에 가장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판 BAI가 주관적 불안, 신경생리학적 불안, 자율신경계 불안 및 공황적 불안이라는 4개의 일차 요인과 일반적 불안이라는 1개의 이차 요인이 위계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향후 보완해야 할 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Beck Anxiety Inventory(BAI) has been utilized to assess the level of anxiety symptoms in alcohol- dependent patients. To our knowledg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BAI in alcohol-dependent pati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AI in male alcoholics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To compare the goodness of fit of various alternative models, which had previously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we evaluat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AI using the CFA in a sample of male alcoholics(n= 786). The results of CFA revealed that the modified hierarchical four factor model provided the best fit to the data.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Korean BAI is hierarchically structured, with correlated first-order factors of subjective, neurophysiological, autonomic, and panic symptoms loading on a single second-order factor of general anxiety.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