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아동성폭력 피해가능성평가 영역에서 투사적 그림검사가 지니는 가치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성폭력 피해가 명백한 집단과 성폭력 피해의 타당한 근거가 전혀 없는 증거부재집단, 그리고 비피해 임상집단의 투사적 그림을 Van Hutton의 채점체계에 근거하여 채점한 후 비교하였다. 성폭력 피해가 의심되어 전문 지원기관을 방문한 사례를 피해확실집단(n=64)과 증거부재집단(n=30)으로 분류한 후 피해확실집단을 다시 단회피해집단(n=31)과 지속피해집단(n=33)으로 세분하였다. 비피해 임상집단은 소아정신과 외래에 방문하여 투사적 그림검사를 포함한 종합심리평가를 받은 64명의 아동으로 구성하였다. 집단 간 차이검증 결과, 성 관련 생각에의 몰두(SRC), 공격성과 적개심(AH), 및 각성(ADST) 척도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위축과 접근신중성 척도(WGA)에서는 비피해임상집단이 나머지 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선행연구와 달리, 생식기나 항문과 같은 성 관련 신체부위는 어떠한 집단에서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ssessment value of projective drawing tests in determining probability of child sexual abuse. To accomplish this, we compared Van Hutton's quantitative drawing scores(preoccu- pation with sexually relevant concepts: SRC, aggression and hostility: AH, withdrawal and guarded accessibility: WGA, alertness for danger, suspiciousness, and lack of trust: ADST) in a single sexual abuse group (n=31), a multiple sexual abuse group (n=33), an alleged sexual abuse with no evidence group (n=30), and a clinical group with no history of sexual abuse (n=64).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group differences in SRC, AH, and ADST. However, the clinic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others with respect to WGA. Drawings of genitals, breasts, or anuses were not observed in any group.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s well as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y have been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