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새로운 자기 개념인 자기-자비가 불안 및 강박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고억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때 사고억제는 억제시도, 침입적 사고 그리고 성공적 억제로 세분화하여 측정하였으며, 194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이 작성한 자기-보고식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자비 정도는 침입적 사고 및 성공적 억제 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억제 시도 자체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자기-자비는 불안과 강박 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매개효과와 관련해, 억제시도, 침입적 사고 그리고 성공적 억제 중 침입적 사고만이 자기-자비가 불안 및 강박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자기-자비를 하나의 치료적 과정으로 하는 ACT 및 CFT 등 다양한 치료적 접근의 타당성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ought sup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anxiety and obsession. A thought suppression inventory that assesses thought suppression and intrusion separately and evaluates successive suppression was used. Participants, consisting of 194 nonclinical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complet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on self-compassion, thought suppression, anxiety and obses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f-compas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trusion, successful thought suppression, and anxiety and obsession. Only intru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anxiety and between self-compassion and obsession. The findings offer a rationale for psychotherapeutic approaches that have self-compassion as a process variable such as ACT and CF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with future sugges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