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인지적 탈융합 처치가 사고 분산 처치에 비해 발표불안 반응, 자기-참조적인 부정적 사고에 대한 정서적 불편감과 이를 사실로 믿는 정도 및 주의 편향의 정도가 더 많이 감소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처치 효과에서 심리적 유연성이 중재역할을 하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참가에 동의한 남녀 대학생은 인지적 탈융합 처치조건과 사고분산 처치조건에 무선 할당되었다. 인지적 탈융합 처치조건 27명, 사고분산 처치조건 23명, 총 50명이 자료 분석에 포함되었다. 연구결과, 발표상황에 대한 주관적 불안 반응의 수준과 자기-참조적인 부정적 사고에 대한 정서적 불편감 및 이를 사실로 믿는 정도는 사고 분산 처치조건 보다 인지적 탈융합 처치조건에서 더 많이 감소되었다. 심리적 유연성의 중재효과를 검증한 결과, 발표 직후에 측정된 확장기 혈압과 자기-참조적인 부정적 사고를 사실로 믿는 정도 둘 다에 대한 인지적 탈융합 처치의 우수한 효과는 심리적 유연성수준이 높을 때보다 낮을 때에 더 두드러졌으며, 처치직후에 측정된 맥박에 대한 인지적 탈융합 처치의 우수한 효과는 심리적 유연성수준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두드러졌다. 치료 기대와 심리적 유연성의 영향을 통제했을 때, 사고분산 조건보다 인지적 탈융합 조건에서 정서적 스트룹 과제로 측정된 사회적 위협단어에 대한 주의 편향이 이완기 직후에 더 많이 감소되었다. 이 결과들은 인지적 탈융합이 발표불안 반응과 자기-참조적인 부정적 사고의 영향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며, 그 과정에서 심리적 유연성이 부분적으로 중재 역할을 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ve impacts of cognitive defusion treatment on anxiety responses to a public-speaking situation, the emotional discomfort and believability of self-referential thoughts, and the degree of attentional bias, as compared to a thought distraction treatment. A secondary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as a moderator in these treatment effects. University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cognitive defusion(n=27) or thought distraction(n=23) conditions. As expected, under the cognitive defusion condition, a greater decrease was observed in subjective anxiety responses to an impromptu speech situation and the emotional discomfort and believability of negative self-referential thoughts when compared with the thought distraction condition. Next, the partial effects of the cognitive defusion treatment on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pulse immediately after relaxation period were moderated by the levels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Moreover, psychological flexibility was shown to moderate the efficacy of the cognitive defusion treatment on the believability of negative self-referential thoughts immediately after the speech. In addition, under the cognitive defusion condition, the extent of cognitive interference on a modified Stroop task showed a greater reduction when compared with the thought distraction condition, when controlling for treatment expectancy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ognitive defusion is a useful intervention for reducing speech anxiety responses and the emotional discomfort and believability of negative self-referential thoughts, and that psychological flexibility may emerge as a moderator of the relative efficacy of cognitive def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