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대학생의 정신건강 상태를 탐색하고 중재 방안으로 피드백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첫째, 연구 Ⅰ에서는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대학생의 정신건강 상태를 설문지와 디스카운팅 과제(Discounting Task)를 통해 일반 사용자군과 비교했다. 둘째, 연구 Ⅱ에서는 직접 누르면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빈도 등을 알려주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형태의 수동 피드백 프로그램을, 셋째, 연구 Ⅲ에서는 일정 사용 시간과 빈도마다 자동으로 팝업 메시지(Pop-up Message)를 띄워 알려주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형태의 자동 피드백 프로그램을 사용한 처치군의 프로그램 사용 후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빈도를 비처치군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Ⅰ에서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대학생은 일반 사용자군과 비교해 스트레스, 충동성,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등 측정된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또한 연구 Ⅱ에서 사용된 수동 피드백 프로그램은 스마트폰 사용 감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Ⅲ에서 사용된 자동 피드백 프로그램은 사용후 1,2주간 일시적 사용 시간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sychological health of smartphone addiction risk group of college students and effects of feedback intervention on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For this purpose, first, psychological health status was measured using various questionnaires and Delay Discounting Task and compared with normal user group. Second, after experiment group used a manual feedback program, application of a smartphone that shows smartphone usage time and frequencies when it is directly touched and implemented, the question of whether smartphone usage was de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as examined. Third, the same experiment was performed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that shows smartphone usage time and frequencies by automatic pop-up messages. In the results, smartphone addiction risk group of college students showed negative results in all the areas of psychological health measured in the study. In addition, the manual feedback program has no effect on decreasing smartphone usage. The automatic feedback program is helpful in decreasing smartphone usage time for 2 weeks after using the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