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바클리 집행기능 결핍척도(Barkley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Scale; K-BDEFS)는 89문항으로 이루어진 자기보고식 질문지로, 성인 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 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환자들의 일상 생활에서의 집행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척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판 BDEFS (K-BDEF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표본을 대상으로 본 척도를 실시하였다. 표본은 국내 4개 지역(서울, 경기, 청주, 진주)의 1,016명의 지역사회 거주 중인 성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내적 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구성 타당도, 수렴 타당도 및 변별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K-BDEFS 총점의 신뢰도 계수는 0.98이었으며 모든 하위 척도 및 지표의 내적 합치도가 양호하였다. 35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K-BDEFS를 1-3주 간격으로 두 차례 실시한 결과, 총점의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0.87로 나타났다. BDEFS 원본에서 제시된 5개의 요인구조를 검증하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하여 원본의 요인구조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 K-BDEFS는 좋은 신뢰도 및 타당도를 갖춘 것으로 나타나 임상 및 연구 장면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Korean version of the Barkley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Scale (K-BDEFS) was developed for assessment of daily executive functioning in adul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The original BDEFS has demonstrated good psychometric properti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K-BDEFS in Korean sample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016 community-dwelling general adults from 4 regional areas (i.e., Seoul, Gyeonggi, Cheongju, and Jinju) across South Korea. We examined the factor structure, internal consistency, and convergent validity, and divergent validity of the K-BDEFS in the sample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K-BDEFS was examined b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ronbach’s alpha value for K-BDEFS was 0.98 and all subscales and indices demonstrated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K-BDEFS demonstrated good test-retest reliability. The convergent and divergent validity of the K-BDFES were confirm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five factor model of the K-BDEFS as presented in the original version of the BDEFS. K-BDEFS demonstrated satisfac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Its utility in clinical and research settings appeared to be feasible in Korea.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among clinical populations and the ecological validity of this sc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