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성격의 5요인 모델(McCrae & Costa, 1985)과 주관적 삶의 질(Quality of Life: QoL)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신분열병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양성 및 음성 증후군 척도(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를 이용하여 정신병리를 평가하고, NEO 인성검사(NEO Personality Inventory, Revised: NEO-PI-R)와 Happy-QoL 척도(국승희, 2001)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에서는 정신병리를 통제한 상태에서 성격과 주관적 QoL의 부분상관을 산출하였다. 또한, NEO-PI-R의 하위척도들에 대한 군집분석을 통해 환자들의 성격 프로파일을 군집화한 후, 정신병리를 통제한 상태에서 군집간의 주관적 QoL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신경증적 경향성과 외향성 외의 나머지 세 성격요인들(개방성, 원만성 및 성실성)도 주관적 QoL과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하위척도들 중 환상은 주관적 QoL과 전혀 관련이 없었고, 일부 하위척도들은 약한 상관만 있었다. 세 유형의 성격 프로파일이 확인되었는데, 군집 1은 신경증적 경향성의 하위척도들의 점수가 높으면서 나머지 요인들의 하위척도들의 점수는 낮은 집단이었으며, 군집 3은 그 반대의 유형을 보이는 집단이었고, 군집 2는 군집 1과 군집 3 성격 프로파일의 중간에 속하는 집단이었다. 세 군집 중 군집 1의 주관적 QoL이 가장 낮았고, 군집 3의 주관적 QoL이 가장 높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간략하게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McCrae & Costa, 1985)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QoL). The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NEO-PI-R) and Happy-Quality of Life Scale(Kook, 2001; Happy-QoL Scale) were administered to 200 schizophrenic patients and their psychopathology us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was assessed. The partial correlations controlling the psychopathology between personality and subjective QoL were calculated. Additionally, the patients' personality profiles were clustered by cluster analysis on the subscales of NEO-PI-R, and then the subjective QoL among the clusters controlling the psychopathology were compa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ree other personality factors (openness,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as well as neuroticism and extraversion were related with subjective QoL. However, fantasy of the subscales was not related and some subscales had weak correlations with subjective QoL. Three profiles of personality were showed. The cluster 1 was the group which had high scores on the subscales of neuroticism and low scores on the subscales of four other personality factors, but the cluster 3 was the contrary group and the cluster 2 was the intermediate group. The subjective QoL of the cluster 1 was the poorest and that of the cluster 3 was the best of three clusters. Finally, the suggestions, limitations and further issue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