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발표불안과 관련된 부적응적 인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최근에 개발된 발표불안 사고 검사 (Speech Anxiety Thoughts Inventory, SATI)의 한국판을 만든 후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한 세 가지 연구를 소개한 것이다. 한국판 SATI는 원판과 동일하게, ‘수행부족에 대한 예언’과 ‘청중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공포’라는 2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결과는 독립적인 표본에 의해 반복 검증되었다. 한국판 SATI의 내적 합치도는 매우 높았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만족스러운 수준이었다. 한국판 SATI의 수렴 및 변별타당도 역시 양호하였을 뿐 아니라, 발표과제에 대한 불안반응을 잘 예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들은 한국판 SATI가 발표불안과 관련된 부정적 인지를 아주 신뢰롭고 타당하게 평가하는 도구임을 시사한다. 끝으로, 발표불안에 대한 연구 및 임상 실제에서 한국판 SATI의 활용방안과 함께, 본 연구의 제한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This article describes three studies examining th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a Korean version of the Speech Anxiety Thoughts Inventory (K-SATI) - an instrument recently developed to measure maladaptive cognitions associated with speech anxiety. In Study 1, factor analyses of the K-SATI revealed a two-factor solution -“prediction of poor performance”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by audience”, respectively. In Study 2, the two-factor structure was replicated. In addition, the results revealed high internal consistency, satisfactory test-retest reliability over both two- and eight-week periods, and goo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In Study 3, the scale demonstrated its predictive value for anxious responding to a public speaking task.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K-SATI is a highly reliable, valid measure to assess negative cognitive features of speech anxiety. Lastly, the utilization of the K-SATI in the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of speech anxiety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ie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