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Pearlin 등(1990)은 치매 환자 보호자의 스트레스를 일차적 스트레스와 이로 인한 이차적 스트레스로 구분했으며, 일차적 스트레스를 또 다시 객관적 스트레스요인과 주관적 스트레스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기억 및 행동문제점검-개정판(Revised-Memory and Behavior Problem Checklist: R-MBPC)은 환자 보호자의 객관적 스트레스를, 부담조사(Burden Interview: BI)는 주관적 스트레스를 평가하는 척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 척도를 한국 상황에 맞게 번안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위해 치매 진단이 확정된 환자의 보호자 1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R-MBPC:빈도 및 반응, BI의 내적 일치도는 .90에서 .93까지 나타났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1에서 .97로 양호하였으며, 환자의 인지 기능, 일상생활 기능, 보호자의 정서 등을 측정하는 척도들과의 수렴 타당도 및 변별 타당도도 대체로 우수하였다. 또한 R-MBPC:빈도의 요인분석을 통하여 원논문에서 제시된 3개의 요인 구조와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으나, BI의 경우에는 2개의 요인 구조를 확인하는데 제한점이 있었다. 이와 함께, 환자의 치매 정도에 따라 보호자의 객관적 스트레스와 주관적 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 경도 치매 환자 보호자의 스트레스는 중등도 이상의 치매 환자 보호자의 스트레스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 확인된 연구대상의 특성, 문화적 차이 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를 기초로 치매 환자 보호자의 스트레스 과정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 모델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rimary stressors, core variable in the model of the stress process in dementia patients' caregivers that Pearlin et al.(1990) proposed, are divided into objective stressors and subjective stressors, which are distinct and hypothesized to be differently related to patients and/or caregivers variables. The Revised-Memory and Behavior Problem Checklist(R-MBPC) measures objective stressors and the Burden Interview(BI) evaluates subjective stressors in dementia patients' caregivers. In this study, we translated the R-MBPC and the BI according to the Korean situation and tes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wo scales. For this, two scales were administered to 128 dementia patients' caregivers. As a result, the internal consistencies of the R-MBPC:Frequency, the R-MBPC:Reaction and the BI were from .90 to .93,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were from .91 to .97. In additio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scales and scales that assess patients' cognitive abilities, daily living abilities, and caregivers' emotions were suitable. Through fact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R-MBPC is composed of three factors as presented in the original article, but it was suggested that the two factors of the BI in the original article has limitations in the Korean situation. Lastly, in the analysis for the caregivers' objective and subjective stress according to dementia severity,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ild dementia patient group and the moderate or severe dementia patient group was remarkable. The influence between the caregivers'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background was discussed, and in the future, a comprehensive model for the stress process in the caregivers of dementia patients should be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