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실험과제에 대한 행동적 반응으로 고통 감내력을 측정하고, 이러한 고통 감내력이 자기보고로 측정한 고통 감내력과 유의미한 상관을 가지는지, 우울이나 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행동적 반응으로 측정한 고통 감내력이 낮은지 살펴보았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 88명에게 자기보고식 측정도구인 고통 감내력 척도, 우울 척도, 불안 척도와 행동적 고통 감내력 측정과제인 Distress Tolerance Test (DTT)를 실시하였다. 하지만 연구 1의 결과, 경도의 불안 집단이 정상 수준인 집단에 비해 DTT 지속시간이 더 길었으며, 고통 감내력 척도의 총점과 DTT의 행동적 고통 감내력 측정치 간에 상관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DTT 측정치가 고통 감내력을 타당하게 반영하지 못하였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연구 2에서 고통을 견디는 것의 개인적 가치를 변인으로 추가하여 DTT를 수정하고, 대학생 102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DTT에서 유발된 부적 정서와 개인적 가치를 통제하였을 때 자기보고로 측정한 고통 감내력이 낮을수록 DTT 지속시간이 더 짧은 경향성이 있었다. 또한 DTT에서 유발된 부적 정서와 개인적 가치를 통제하였을 때 우울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DTT 지속시간이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ported distress tolerance and behavioral distress tolerance in addi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distress tolerance and depression or anxiety. For this, two studies were completed. In the first study, 88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Distress Tolerance Scale (DTS), Center for Epidemiologic Scale-Depression (CES-D), Beck Anxiety Inventory (BAI) and Distress Tolerance Test (DT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lf-reported distress tolerance and DTT task persistence.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TT task persistence between high depression group and low depression group. Mild anxiety group persisted in DTT longer than normal group when controlling for negative a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sistence in DTT does not reflect behavioral distress tolerance and the contextual variable such as personal importance of DTT can affect the persistence in the test. Therefore, DTT was modified to include the personal value of the test. In the second study, 102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DTS, CES-D, BAI and modified DTT. There was a tendency for self-reported distress tolerance to show correlation with behavioral distress tolerance when controlling for negative affect and value. And, low depression group persisted in DTT longer than high depression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TT persistence between high anxiety group and low anxiety group. Based on the overall findings, the meaning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