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의 시작을 미루는 착수지연과 일의 마무리를 미루는 완수지연을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를 개발하고, 각 지연행동 유형과 완벽주의 및 충동성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1에서는 학업적 착수지연과 완수지연을 측정하는 도구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고, 서울 소재 대학생 15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예비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학업적 착수지연과 완수지연의 두 요인을 확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8문항을 선정하여 학업적 착수-완수지연 척도(AICPS)를 구성하였다. 연구 2에서는 대학생 296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AICP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AICPS는 높은 내적 합치도와 적절한 수준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2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itken의 지연행동 척도(API), 한국판 CES-D 척도(CES-D), 로젠버그 자존감 척도(RSES)와의 상관분석 결과, AICPS의 수렴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연구 3에서는 완벽주의와 충동성이 학업적 착수지연 및 완수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충동성은 학업적 착수지연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으나, 완벽주의의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에 반해 학업적 완수지연의 경우, 완벽주의가 충동성보다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the current study, a measurement that assesses academic initiation-procrastination(AIP) and completion- procrastination(ACP) was developed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wo types of procrastination, impulsiveness, and perfectionism were explored. In study 1, a preliminary version of Academic Initiation- Completion Procrastination Scale(AICPS) was constructed. Data were collected from 151 undergraduate student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scale was composed of two factors, and 18 item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version of AICPS. In study 2, data collected from 296 undergraduate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ICPS. AICPS demonstrated an adequate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Two-factor structure was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vergent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correlation tests among AICPS, Aitken's Procrastination Scale (API), Korean version of CES-D, and Rosenberg Self Esteem Scale (RSES). In study 3, the effects of impulsiveness and perfectionism on academic procrastination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mpulsiveness explained AIP whereas perfectionism did not.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perfectionism on ACP was greater than that of impulsiveness. The implication, limit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