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초기불교에서는 인간의 궁극적인 행복을 열반으로 표현한다. 초기경전에 따르면, 열반은 탐진치(貪瞋癡)의 소멸로 정의된다. 따라서 붓다는 탐진치의 소멸로부터 인간의 궁극적인 행복이 가능하다고 본 것이라는 사실은 당연하게 보인다. 그런데 성냄[瞋]과 어리석음[癡]의 소멸이 행복으로 가는 길이라는 점에는 동의하기 쉬워도 탐욕의 제거가 행복으로 가는 길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납득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치로서 이해하고 동의하기 어렵다는 말이 아니라, 사람들의 실제 일상에서 욕구충족이 곧 행복이라는 등식을 포기하기 어려운 사정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논자는 붓다 스스로 닦고 제시한 일련의 수행방법이 욕망의 문제와 연관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는 데 주목하였다.또 하나 주목해야 할 사실은 욕망자체에 내재된 위험성을 지적하는 경문에서 어김없이 선정수행이 등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때 나타난 일련의 서술이 먼저 욕망의 문제점을 깊이 통찰하고, 다음으로 그것을 다스리며, 마지막으로 욕망으로부터 자유로운 경지를 터득하게 된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에서 욕망과 선정의 관계를 충분히 짐작할 수 있게 된다. 논자는 이에 따라 초기불교의 욕망론은 선정수행과 직결된다는 점을 드러내고, 선정수행은 욕망자체가 지니고 있는 위험성에 대한 이해, 욕망이 감각정보로 구체화될 때 생겨나는 마음의 반응 과정에 대한 통찰로 파악하였다. 이에 대한 논증은 5부 4아함을 온전히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지만, 논자는 『숫타니파타』와 『담마파다』에 나타난 욕망과 선정수행의 연결지점에서 붓다의 기본적인 입장과 태도가 충분히 드러나고 있으므로, 이 두 문헌에 의거하여 논의를 전개한다.


Nibbāna is the ultimate happiness in the Early Buddhism. The Pali Canon defined Nirvāna as a disappearance of lust, resentment, ignorance. So, it is natural that the hapiness is can be formed of removal of desire. But it is not easy to accept the fact which the happiness is in proportion as the removal of desire. Because, people spend a day in pursuit of desire and enjoy a filled desire. Therefore Desire is not a matter to study put aside the practical human's life and state of mind, here and now. It is practical matter to want to be released from the bondage of cravings and attachments. Accordingly this is connected to training or controlling the mind, that is meditation. This paper aims to explicate the concept of desire(kāma, rāga, chanda, taṇha) in the Suttanipāta and Dhammapada. Secondly, I will examine meditation is an insight into the desire of sensure, outbreak and disappear of desire in mind, controlling the mind from the desire. In the Suttanipāta and Dhammapada, come out the various Method of meditation(Sati, Samatha, Vipassanā, Samādhi) which connected the desire of sensure. As I give attention to the concept of desire and meditation, tried to explicate the meaning of meditation in the Early Buddhism.


Nibbāna is the ultimate happiness in the Early Buddhism. The Pali Canon defined Nirvāna as a disappearance of lust, resentment, ignorance. So, it is natural that the hapiness is can be formed of removal of desire. But it is not easy to accept the fact which the happiness is in proportion as the removal of desire. Because, people spend a day in pursuit of desire and enjoy a filled desire. Therefore Desire is not a matter to study put aside the practical human's life and state of mind, here and now. It is practical matter to want to be released from the bondage of cravings and attachments. Accordingly this is connected to training or controlling the mind, that is meditation. This paper aims to explicate the concept of desire(kāma, rāga, chanda, taṇha) in the Suttanipāta and Dhammapada. Secondly, I will examine meditation is an insight into the desire of sensure, outbreak and disappear of desire in mind, controlling the mind from the desire. In the Suttanipāta and Dhammapada, come out the various Method of meditation(Sati, Samatha, Vipassanā, Samādhi) which connected the desire of sensure. As I give attention to the concept of desire and meditation, tried to explicate the meaning of meditation in the Early Buddh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