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공자는 서주 이후부터 춘추 시대에 이르는 동안에 확립된 학 개념을 수용하고 있다. 그래서 공자가 주장한 학도 식(識)과 효(效)와 각(覺)의 전체 활동과 그 상호 작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공자는 춘추 이후 강조되고 있는 대의명분과 규범의식에 대한 반성을 윤리적 행위의 차원에서 숙고함으로써 학 개념을 새롭게 전개하였다. 그 결과 공자는 인(仁)을 학의 본질로 규정하고 이로써 학의 규범적 절대성과 실천적 가능성의 근거를 확립하고 있다. 따라서 공자가 주장한 학은 인학으로 귀결되는 바,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은 인간 스스로 내면적 품성을 계발함으로써 인간의 도리와 그에 따른 인륜의 규범성을 깨닫는 것이다. 둘째, 학은 역대 성현이나 당대의 훌륭한 선비로부터 감화를 받고 그를 모방하거나 본받으려는 행위를 수반하고 있다. 셋째, 학은 인간의 도리와 인륜의 규범성에 관련된 인식의 체계와 윤리적 행위를 실천에 관련된 여러 가지 개념적 인식을 포괄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at an inquiry about the concept of hsueh in Confucius' Jenlogy system. As the result of Confucius'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hsueh under an awakening to moral consciousness and a reflecting on highest duty itself in an ethical viewpoint hsueh became primary concept of Confucius' Jenlogy, Of course the concept of hsueh was specialized into the meaning of enlightenment, modelize, recognize before Confucius∼period already. But in those days traditional meaning of hsueh was not abided as a behavioral principle. So Confucius asserted the practice of hsueh as a new experiment and prescribed the jen for the essence of hsueh. Hereby hsueh was established as a normal foundation and a practical poss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