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반적으로 명예는 자아 관념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감정이고 타인들과의 접촉에 의해서 영향을 받거나 생겨난다. 따라서 가치와 사회 형식이 바뀔지라도 명예의 본질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자신 대 타인이라는 구도는 변하지 않는다. 흥미로운 점은 고대 그리스의 자아 개념이 명예개념을 통해서 형성되었으며 자아의 감정은 명예의 담지자로서 자아와 이와 연관된 타인들의 위상에 초점이 맞춰지게 된다. 그러나 명예 개념은 개인적 명성, 즉 자신의 위상 또는 업적들에 관한 타인들에 예상된 비준이라는 개념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명예는 자기 자신의 명예뿐만 아니라 오히려 타인들의 명예들도 아울러 고려해야 한다. 지나친 자기과시는 타인들의 명예를 침해하게 되며 그럼으로써 자신의 명예도 실추하게 된다. 이런 명예의 상대적 효과 때문에 명예는 단지 자기 자신의 명성만을 고려하기 보다는 명성이 추구되는 과정 속에 드러나는 타인과의 관계와 연관된 적절함(예, 절제, 고귀함, 추함)이라는 개념과 상호 관련되어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 연구자가 밝히고자 하는 바는 자기 자신의 명예 관념 속에는 타인들의 의견들로부터 독립된 내재화된 자아상(internalized self-image)과 명예욕구가 담겨져 있다는 점이다. 개인의 명예는 근본적으로 그 개인의 내적 자아상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이 단계에서 자신의 눈에 비친 자아상을 제외하고 어떤 외적 평판에 연연하지 않는다. 따라서 명예 규약은 자신이 탁월성을 실제로 소유하려는 개인적인 결심을 요구하는 것이지 자신이 그것을 소유하고 있다는 것을 남들에게 과시해야 한다는 점을 함의하지 않는다. 이런 방식으로 연구자는 명예 개념이 개인의 내재화된 표준들을 형성하는 장치가 될 수 있음을 살펴볼 것이다. 명예와 연관된 가치들에 대한 논의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작품 속에 많이 담겨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은 명예가 일종의 양심이란 형태에 근거한 내적 제제가 될 수 있음을 살펴볼 것이다. 우선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작품 속에 나타난 명예/불명예의 본성과 특별히『영혼론』에서 그것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도덕적인 탁월성과 연관될 수 있으며 또한 어떻게 외적 내적 제재로서 양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To attain the goal of complete excellence may be rare or impossible achievement, but it is an ideal which Aristotle is able to construct on the basis of the categories of evaluation which he found in ordinary moral discourse, and it is an ideal in whose construction he is remarkably successful in combining a system based on a natural teleology of man with an account which saves most of the phenomena of common belief. We should thus see in his overall approach to aidōs, and to what maybe made of aidōs in the good man, a recognition of the central thesis of this work, that aidōs is not solely dependent of the judgements of others, that it can spring from a form of conscience based on internalized moral standards, and that it can express a concern for the intrinsic character of one's actions. In this matter, Aristotle is in agreement with Plato. Plato seems the most optimistic that such a concern may be possible for a wide cross-section of society, but since the conclusions of all must be drawn from their understanding and observation of the motivation of their fellow Greeks, their ethical theories, though different, converge in offering evidence to contradict the generalizations of the shame-culture theor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