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베르그손은 지속 철학이 철학사를 관통하는 문제임을 깨달았다. 또한 그는 지속 개념으로부터 형이상학적 원리에서 심리학에 도달하였다고 말했다. 그 심리 철학이란 강도의 개념이다. 따라서 지속 개념은 공간의 문제를 시간의 의식으로 바꾸어 철학적 원리를 세우는 일이다. 지속의 원리는 철학의 근본을 세우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공간적 사유인 연장 개념으로 세계를 보는 관점에서 시간적 사유인 지속의 관점으로 세상을 보는 것이다. 지속 관점에 서게 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은 검의 양날과 같이 혹은 동전의 양면과 같이 마주할 수 없는 것들이 마주하게 된다. 간단히 말하자면 모순률을 놓음으로써 세계에 모순을 배제하는 방식으로 사고를 발전시켰고 이러한 것이 서구 합리성의 역사였다. 그의 지속 원리는 단순히 공간적 사유를 시간적 사유로 전환했다는 데 의의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이도 하나의 전환이기는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우리의 합리성에도 불구하고 세계 속에서 발견되는 모순을 포착하여 설명할 계기를 마련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게 도달한 것이 바로 그의 심리학이고 강도의 개념이다. 강도의 본성은 질적 차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양으로 환원될 수 없는 고유한 심리상태들의 다양성을 드러내 준다. 그것은 질적인 전진이며, 그의 표현대로 새로움을 갖는 창발성을 획득한다. 강도 개념의 분석으로부터 우리는 베르그손의 질적 다양성으로부터 존재의 다양성의 관념에 이르게 되며 차이의 본질을 이해하게 된다.


Bergson understood his philosophy of duration as a problem through history of philosophy. Also he explained that his notion of duration start from metaphysical principle to psychology. In my opinion, philosophy of mind is considered notion of intensity. Therefore, notion of duration is set as a philosophical principle resulting in changing space’s problem at a traditional philosophical principle into time- consciousness. The duration’s principle builds a foundation in philosophy. Once again, it is to see the world from a point of view of duration. The problem which came from a point of view of duration is like two side of the same coin facing each other. In short, history of western rationality made the law of contradiction by removing contradiction in world. His duration’s principle has no significance in turning thought of space to thought of time. It is more important that opportunities to catch and explain contradiction in world are contrived. It is his philosophy of mind and notion of intensity. Nature of intensity is made up of differences in quality and it reveals inborn multiplicity of psychological conditions which can not be changed to quantity. It is a progress in quality and gets creation according to his expression. From analysis of intensity’s notion, Bergson’s multiplicity in quality reaches an idea of being’s multiplicity and nature of dif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