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天𩑠의 『禪門寶藏錄』은 知訥의 『修心訣』, 『看話決疑論』의 저술에 버금가는 고려 중기 대표적인 禪書라 할 수 있다. 천책이 萬德山 白蓮社의 4대 주지였던 眞靜國師와 동일인인가 아닌가 하는 문제와는 별도로 『선문보장록』이 한국선에 미친 영향은 지대하다. 또한 지눌과 慧諶으로 이어진 修禪社의 禪風이 화엄종을 의식하고 있다면, 천책의 선사상은 九山禪門을 계승하면서 馬祖와 臨濟를 잇는 祖師禪의 특징을 직접적이고도 간결하게 표출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鏡虛 등이 편찬한 『禪門撮要』에 『선문보장록』이 수록될 정도로 禪僧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던 점을 상기할 때, 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하겠다. 본고에서는 『선문보장록』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목적으로 하여 다음의 세 가지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선문보장록』은 총 3冊 86則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상의 특징과 86칙의 구체적인 출전이 무엇인지를 살펴서, 이 책의 저술동기와 목적을 밝히고자 하였다. 둘째, 『선문보장록』의 핵심사상을 한국적 祖師禪의 확립으로 보고, 이러한 특징이 저술 속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규명하였다. 우선 禪主敎從의 선교관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제일 먼저 선과 교를 대별하여 선이 교보다 우수함을 입증하고 있다. 특히 眞歸祖師說의 등장은 이를 단적으로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어 조사선의 특징인 本來成佛의 本體論과 無修無證의 修證論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밝혔다. 끝으로 휴정과 志安 그리고 亘璇과 鏡虛 등 조선 후기 및 구한말의 禪僧들에게 『선문보장록』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선문보장록』은 한국적 조사선이 체계적으로 표현된 대표적인 저술 가운데 하나임을 밝혔으며, 휴정 이후 그 영향이 구한말 경허를 통하여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음을 밝혔다.


Seonmunbojangnok(禪門寶藏錄) by Cheoncheck(天𩑠) is second only to Susimgyeol(修心訣), Ganhwagyeoleuiron(看話決疑論) by Jinul(知訥), a representative Seon text in the middle of Koryeo dynasty. Seonmunbojangnok(禪門寶藏錄) had a profound impact on Korean Seon. It is a different problem whether Cheoncheck(天𩑠) is the same Seon master with Jinjeongkuksa(眞靜國師), the fourth chief monk at Baekryeonsa(白蓮社) in Mandeoksan Mountain. And if Seon tradition of Suseonsa(修禪社) by Jinul(知訥) and Hyeasim(慧諶) was conscious of Huayan school(華嚴宗), Seon thought of Cheoncheck(天𩑠) had a master Seon(祖師禪)’s characteristics succeeding Nine Mountain Sects of Seon (九山禪門), mǎzǔ(馬祖) and línjǐ(臨濟). It represented master Seon(祖師禪)’s characteristics directly and simply. Especially, if we remember that Seonmunbojangnok(禪門寶藏錄) had a great impact on Seon monks to such an extent that the text could be recorded in Seonmunchwaryo(禪門撮要) compiled by Gyeongheo(鏡虛) and so on, we can say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n this paper, I have dealt with the three following problems for the purpose of synthetic comprehension on Seonmunbojangnok(禪門寶藏錄). First, Seonmunbojangnok(禪門寶藏錄) is composed of three volumes and eighty-six rules in all. With scanning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and the concrete origin of eighty-six rules, I tried to disclose the written motivation and the purpose of this text. Second, I presumed that the key thought of Seonmunbojangnok(禪門寶藏錄) was the establishment of Korean master Seon(祖師禪) and I investigated how concretely the characteristics had been appeared in the text. For a start, it can be the viewpoint of principal contemplation and accessory text (禪主敎從) on Contemplative School(禪宗) and Textual School(敎宗). This book demonstrates that Contemplative School(禪宗) is superior to Textual School(敎宗) by classifying Seon(禪) and Gyo(敎). Particularly, the appearance of the master Jingyui’s theory(眞歸祖師說) speaks the viewpoint frankly. Subsequently, I revealed the way how the characteristics of master Seon(祖師禪), the ontology of attaining Buddhahood by nature(本來成佛) and theory of practice and realization(修證論), had been formulated. Lastly, I examined the effect of Seonmunbojangnok(禪門寶藏錄) on Seon monks such as Hyujeong(休靜), Jian(志安), Geungseon(亘璇) and Gyeongheo(鏡虛) etc. in late Joseon dynasty. With the above consideration, I determined that Seonmunbojangnok(禪門寶藏錄) is the representative text expressed Korean master Seon(祖師禪) systematically and until now the text’s effect has been continued by master Gyeongheo(鏡虛) after master Hyujeong(休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