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회가 우리의 생각과 행동에 여러 가지 방식으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우리는 자연이라는 사회 이전의 세계에 살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인간 욕구와 감정들이 자연으로부터 생성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루크레티우스는 분노와 공포와 같은 감정들 또는 성적 욕구들과 음식욕구와 같은 신체적 욕구들은 선천적이며 생물학적인 것으로 문화적 힘에 의해서 형성되지 않은 것이라는 주장에 물음을 제기한다. 그는 욕구와 감정과 관련해서 사회 구성론자들이다. 그는 우리의 기본적인 감정 범주들(공포, 분노, 사랑과 같은 범주들과 그 안에 있는 수많은 하위범주들)은 사회적 가공물이기 때문에 잘못된 욕구들과 감정들은 철학적 가르침에 의해서 원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의 견해에 따르291면 공포, 슬픔, 분노, 연민, 사랑과 같은 감정들은 사물들이 세계 내에 존재하는 방식에 관한 신념들에 의존하고 있고 부분적으로 그것들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성적 욕구와 성적 감정에서도 이 신념들은 사회에서 교육된 가치가 부여된 구분들로 드러난다. 루크레티우스는 자신의 논증을 통해서 얼마나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성적 사랑의 경험이 사회적 학습에 의해서 잘못 형성되는 가를 보여주며 동시에 이 사회적 가르침들을 비판함으로써 잘못된 사랑의 형식들에 빠진 사람들에 대한 철학적 치유를 제안하고 있다.


It is said that our thought and actions are influenced by our society. But some believe that since we live in nature which is prior to social life, our desires and emotions arise from this nature. Bur Lucretius didn't agree that emotions such as rages and fears or bodily appetites such as sexual desires and desires for foods have natural and biological origins and therefore they are not caused by cultural forces. He supports the theory of social construction in relation to desires and emotions. He thinks that since the categories of our basic emotions(fears, rages, loves, and their subcategories) are social artifact, bad desires and emotions can be corrected by philosophical disciplines. According to his arguments emotions such as fears, sorrows, rages, loves, pities rely upon our belief that is formed by the ways of existence of things in our world. But this social belief has many bad results, both external to the erotic relationship and within it. In his argument Lucretius tried to show us how and in what manner the experience of sexual love is formed by social disciplines. He also proposed philosophical treatment criticizing these bas social teach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