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수용전념치료의 창시자인 헤이즈는 ‘불교와 수용전념치료’라는 논문에서 수용전념치료의 병리모델과 치료모델에 나타난 개념을 중심으로 불교와 비교하고 있다. 본 논문은 보다 근원적인 수용전념치료의 철학적 전제인 기능적 맥락주의와 이론적 전제인 관계틀이론을 불교와 비교하고자 한다. 수용전념치료는 철학적으로 실용주의, 인식론적으로 맥락주의, 심리학적으로 기능적 맥락주의, 마지막으로 언어, 인지와 관련해서는 관계틀이론이 적용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기능적 맥락주의에서 사건을 상호작용하는 전체로 다루는 것은 불교의 연기적 세계관과 비교할 수 있고, 성공적 기능여부가 달려있는 목표로 수용전념치료에서는 심리적 유연성을 들고 있고, 불교에서는 무아와 비교할 수 있다. 연기와 무아는 일상적 인식을 넘어선 인식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수용전념치료에서 언어를 설명하는 관계틀이론은 언어의 특성인 자의성으로 인해서 언어는 성취이면서 재앙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언어는 인간의 괴로움의 중요한 근원으로 생각된다. 수용전념치료는 건강을 정상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괴로움을 정상적으로 생각한다. 불교의 사성제에서 괴로움은 편재하고 있고, 이러한 괴로움의 중요한 원인으로 언어를 들고 있다. 괴로움의 편재성은 괴로움을 세 가지로 구분하는 삼고성(三苦性)에 의해서 세 가지 느낌을 정합적으로 설명함으로써 가능해진다. 괴로움의 원인이 되는 언어는 망상 또는 희론이라는 부정적 언어를 말한다. 언어는 실체론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므로 실재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측면에서 부정적이지만, 실재를 가리킨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다. 긍정적 측면은 연기적 언어, 수행적 언어로 드러난다. 언어의 양가적 측면을 수용전념치료와 불교 모두 인정한다. 수용전념치료는 자신의 전제에 대해서 놓여진 것으로 두고 가는 반면, 불교는 인식능력을 계발함으로 인해서 전제에 대해 인식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paper aims at comparing functional contextualism and relational frame theory which is the theoretical hypothesi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with the theory of Buddhism. ACT includes pragmatism in philosophy, contextualism in epistemology, functional contextualism in psychology and relational frame theory in language and cognition. Functional contextualism which treats the event as interactive whole is compared with the pratītyasamutpāda in Buddhism. Successful working in functional contextualism depends on goal that is psychological flexibility in ACT, and that is compared with no-self in Buddhism. Pratītyasamutpāda and no-self are distinguished from those of ACT in that those are the matter of extraordinary consciousness. Relational frame theory deals with language as both achievement and disaster, as origin of human suffering. ACT thought that human suffering is normal, that is to say, destructive normality. Buddhism thought that human suffering is ubiquitous and caused by language. Ubiquity of human suffering can be explained that three kinds of suffering is coherent with three kinds of feeling in Buddhism. Negative language as the cause of human suffering is called by papañca. Language that is based on substantialism cannot reflect reality but refer to it. both sides in language are confirmed by ACT and Buddhism. Finally ACT just hypothesize, but Buddhism can appraise the hypothesis of 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