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마음이란 본질적으로 주관적이며 “전도 스펙트럼 시나리오”는 마음의 저 주관적 본성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따라 나오는 귀결이라는 여전한 믿음이 거리를 배회하고 있다. 그러나 전도 스펙트럼 시나리오의 가능성이 마음의 본성에 달린 문제라는 믿음은 사태를 제대로 보지 못한 소치에 불과하다. 우선, 전도 스펙트럼 시나리오는, 그 통상적인 개진 방식에 있어, 관련 사태에 전연 적중해 있지 못하다. 정조준 되었어야 했을 것은, 대신에, 색깔 이름에 대한 즉물적 정의이다. 누군가에게 전도 스펙트럼 시나리오가 가능해 보인다면 그것은 (부분적으로) 그가 즉물적 정의에 관한 의미론적 무지에 빠져 있기 때문이다. 전도 시나리오란 도대체 이해 불가능하다 그리고 이것을 보이는 데는 도대체 어떤 것이 이름이라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올바른 이해만으로 충분하다. 그렇다면, 전도 시나리오의 가능성을 판별하기 위해 마음이 본질적으로 주관적인지 객관적인지를 놓고 쟁론을 벌여 온 그간의 문헌은 논리적 잉여의 오류에 빠져 있었던 것이다. 만약 문제되는 것이 전도 시나리오 가능성 여부 오직 그것이라면, 저 문제는 마음의 본성과는 애초부터 무관하다. 그간의 오조준은 즉물적 정의의 논리가 제대로 이해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According to the inverted spectrum scenario, things we both call “red” can look to you the way things we both call “green” look to me, even though we are functionally (and therefore behaviorally) identical. I claim that the scenario does not make sense, and that one thinks otherwise only because of his or her lack of clarity about what it is for something to be a name. Because a name is a function of ostensive definition, I delve into the logic of ostensive definition. This↗ in the context of an ostensive definition, contrary to common belief, is not a thing in the ordinary sense of the word, but it is itself part of our language. As a result, this↗ in the context of an ostensive definition does not lead an existence independently from the name to be defined. Consequently, it is impossible for us to correlate two distinct names to one and the same this↗. Without that correlation, however, the inverted scenario falls ap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