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현대 인식론의 한 경향이라 할 덕 인식론(virtue epistemology)의 관점에서 성리학의 지(智)와 지각(知覺)에 관한 전통적 논의들을 살펴봄으로써 그 전체적인 양상과 성격, 그리고 철학적 함의를 해명하고자 한다. 지적인 덕(intellectual virtue)에 관한 견해에 있어 덕 인식론이 대체로 두 진영으로 나뉘는 것처럼, 유가철학사도 지각 기능이나 능력을 지적인 덕으로 보는 입장과 지각과는 차별되는 지를 지적인 덕으로 간주하는 입장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주희는 이 두 입장을 종합했지만, 궁극적으로 그는 지를 지적인 덕으로 보는 입장에 귀착된다. 조선에 이르러 이황은 지각론적 내재론의 입장에서 지를 지적인 덕으로 보았던 반면, 이이는 지각론적 외재론의 입장에서 지각 기능을 지적인 덕으로 보았다. 조선후기에는 내재론과 외재론이 상호작용하면서 서로의 입장 일부를 승인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김창협은 외재론과 내재론의 절충을 모색하였으나, 궁극적으로 지각 능력을 지적인 덕으로 보는 입장을 강화시켰다. 반면, 이익은 외재론의 자연주의적 경향을 일부 수용하였으나, 지를 지적인 덕으로 간주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지와 지각에 관한 두 입장은 조선후기로 갈수록 덕 인식론적 성격과 경향을 점점 더 많이 띠는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성리학의 지와 지각에 관한 견해들을 현대 덕 인식론과 비교 고찰함으로써 지적인 덕에 관한 더 많은 이해를 가질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will shed light on the whole phases, characteristics, and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raditional discussions on ji (智) and jigak (知覺) in the Seongnihak (性理學) from the perspective of virtue epistemology (VE hereafter), which is a trend of contemporary epistemology. As VE is divided into two positions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intellectual virtue, we can understand the history of Confucian philosophy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 following two standpoints: the one sees jigak (cognitive abilities) as intellectual virtue but the other sees ji (wisdom) as intellectual virtue. Although Zhu Xi (朱熹, 1130-1200) integrated these two positions, he was in favor of the latter and deepened it. In the Korean Neo-Confuciansm, Yi Hwang (李滉, 1501-1570) regarded ji as intellectual virtue from the internalist standpoint, whereas Yi I (李珥, 1536-1584) as the defender of externalism thought that jigak actually corresponded to the intellectual virtue. In the late Joseon (朝鮮) dynasty, internalists and externalists started to admit part of each other's view existing in interactions between them. Kim Changhyup (金昌協, 1651-1708) pursued the compromise between internalism and externalism, but in the long run he strengthened the position to regard jigak as intellectual virtue. In contrast, Yi Ik (李瀷, 1681-1763) clarified his own standpoint to regard ji as intellectual virtue while accepting a portion of naturalistic inclination of externalism. These two positions concerning ji and jigak tended to show more and more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of VE as time went on toward the late Joseon. Therefore, we can understand much more about intellectual virtue through the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VE and the doctrines of ji and jigak in the Seongnih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