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삼일운동을 전후하여 기독교계 민족운동진영은 크게 외교독립노선과 독립준비론(실력양성론)으로 분화되었다. 거듭된 외교독립노선의 실패로 말미암아 강력한 대안으로 부상한 독립준비론은 민족의 실력양성을 통한 독립성취라는 방책을제시하였다. 하지만 독립준비론은 자칫 일제의 현실적 지배를 용인하는 방향으로흘러갈 수도 있었다. 이어 등장한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의 민족협동전선은 민족역량의 결집이라는 의미에서 새로운 대안으로 떠올랐다. 뿐만 아니라 이전까지 기독교와 대립하던 사회주의 세력이 비록 일부일지라도 기독교와 손을 잡았다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와 같은 밀월관계는 오래가지 못하고 신간회 해소를 기하여 사회주의는 또다시 반종교론의 깃발을 올리며 기독교를 비판하기 시작하였다. 신간회 이전의 반기독교 운동에 대해서는 비판적 대응과긍정적 수용이라는 입장이 각각 존재했지만, 신간회 해소기의 반종교운동에는 기독교계가 거의 한 목소리로 사회주의의 기독교 비판에 반발하였다.


Around Samil Independence Movement, Christian national movement groups were divided largely into two groups : one part claiming the drive for diplomatic independence and the other concentrating on the preparation for independence (a build-up of power). The latter, which emerged as the most convincing alternative to the repeated failure of the former, presented a plan for achieving independence through escalation of national power. However, it could face the risk of seeming to approve of Japanese occupation. Afterwards, National Collaboration Front, the united form of the nationalist and socialist groups, surfaced as a new alternative in the sense of convergence of national power. It was significantly meaningful in that the socialist groups which disagreed with Christian groups before cooperated with them, though they represented a part of them, not the entire groups. Such friendliness didn’t last long. When Shinganhwe was forced into liquidation, they resumed criticizing Christianity, raising the banner of anti-Christianity. Regarding anti-Christianity, there existed both condemning responses and accepting attitudes in Christian society before the liquidation of Shinganhwe, but after that, the socialists’ criticism of Christianity met with a firm rebuttal of it as a wh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