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야생동물과 관련된 이야기나 작품들 가운데 여우, 늑대, 호랑이와 더불어 곰처럼 많이 대두되는 것도 드물다. 여우가 교활하고, 늑대가 사납고, 호랑이가 용맹스럽게 묘사되는 경우가 많은 반면에, 곰은 우직한 것으로 묘사된다. 그런데 이런 곰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극소수만이 백두산이나 지리산과 같은 깊은 산 속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생명공동체나 생태민주주의를 위해서도, 풍부한 이야기나 작품의 소재를 위해서도 아쉬운 일이다. 이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야생생태계에서의 복원과 복제기술에 의한 복원이 있을 수 있다. 전자를 위해서는 야생동물 수렵금지와 같은 철저한 법집행이 요청된다. 무엇보다도 곰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우리민족의 잘못된 보신문화가 없어져야 한다. 이런 보신문화는 남한에서 거의 사라져가는 곰을 보존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있는 곰을 보존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전 세계에 있는 곰들이 사라지는 주요한 원인 가운데 하나가 한국인들의 빗나간 보신문화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다행히 북한에는 아직도 몇 마리의 곰이 야생상태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남한에서는 지리산을 중심으로 반달가슴곰을 사육하여 몇마리씩 방사하고 있다. 생태민주주의나 생명공동체라는 처지에서 보면 곰도 우리의 산하에서 살 권리가 있다. 국민들에게 여러 동물들이 함께 살 수 있는 생태민주주의 사상을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이 나라는 사람들만의 나라는 아니기 때문이다. 누가 이 땅을 사람만을 위한 곳이라 했는가?


This paper is divided into seven parts. Part 1 is an introduction detailing the purpose, significance, and scope of the study. Part 2 is the kinds, characteristics,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bears. Part 3 is the images or roles of bears in the old tales or literary works. Part 4 is the methods of restorations and its problems. The bears in the ecological democracy and animal pain are for part 5 and 6, respectively. In part 7, concluding thought is presented. Unfortunately, only a few bears have been founded in South Korea since the later 20th century, although bear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old tales or literary works. They have been sometimes the symbols of perseverance and patience for human beings. The human–bear connection has lasted for a long time. However, a lot of bears have been killed or died away by people. For these reasons, the restoration of bears are required in Korea. The serious problems are not caused by bears, but humans. We are responsible for bears living in Korea. Both people and bears should have their rights to live without dangers in Korea. Environmental ethics or culture is realized in the ecological democracy. Humans should not become any longer a tyrannical ruler in the ecological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