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에서는 생태친화적 사회, 곧 생태사회가 기초해야 할 ‘생태적 합리성’에 대해 논의한다. 특히 ‘합리적인 자연관계’의 근대적 형태가 결정론적 문제틀에 기초한다는 문제의식 아래, 비결정론적 문제틀에 기초하여 ‘생태적 합리성’을 모색한다. 이러한 모색은, 중후기 맑스의 생태사회론 및 이에 함축된 생태적 합리성과의 비판적 대결에서 출발한다. 그의 이론이 비결정론적인 측면을 가지며, 또한 그가 비결정론에 기초하는 ‘생태적 합리성’의 문제를 ‘사회형태’ 및 이에 기초한 인간과 자연 간의 관계에 대한 문제로 확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맑스는 사실 비결정론과 관련하여 양가적이다. 즉 결정론적 편향을 동시에 보이며, 이는 그의 생태사회론과 생태적 합리성을 제약한다. 생태적 합리성에 대한 논의가 보다 발전적으로 전개되기 위해서는 그의 한계를 넘어설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이 글에서는 우선 맑스의 ‘비결정론’적 사유방식에 초점을 맞추어 맑스의 이론사적 발전과정이 분석된다. 이를 통해 맑스가 초기부터 ‘비결정론’과 관련하여 양가적임과 동시에, 초기의 결정론적 편향이 중후기에 이르기까지 그의 ‘비결정론적 사유’를 모호하게 하여 일정 정도 제약함을 보인다. 이어서 그의 생태친화적인 코뮌주의 기획이 비결정론에 기초하는 비결정론적 합리성의 단서를 제시함을 보인다. 첫째, 그가 대상을 그 구성요소들 및 그들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여 연구하는 전체론에 기초하여, 자연관계와 사회형성을 합리적으로 계획하고 조절하고자 함을 보인다. 둘째, 그의 이론이 대상에 대한 원칙적으로 완전할 수 없는 조절을 보완하는 ‘예비의 원칙’을 함축함을 보인다. 후기에까지 이어지는 그의 결정론적 편향이 특히 두 번째 측면을 모호하게 한다는 비판에 이어, 이 단서들을 생태적 합리성의 ‘근본원리’로 발전시키고자 시도한다.


In diesem Artikel geht es um die ökologische Rationalität, auf der eine ökologische Vergesellschaftung basiert. Mit der Konfrontation mit der modernen Form des rationellen Verhältnisses von Natur und Menschen, die auf der deterministischen Problematik beruht, untersucht dieser Artikel die ökologische Rationalität auf der Grundlage der indeterministischen Problematik. Dabei geht diese Untersuchung von der kritischen Auseinandersetzung mit Marxscher Theorie aus. Denn sein Entwurf zur kommunistischen und ökologischen Vergesellschaftung zum Teil durch die indeterministische Promlematik strukturiert ist. Allerdings kennzeichnet sich seine Theorie auch durch deterministische Tendenz, die zum Teil aus seinen Früschriften stammt. Daher behandelt dieser Artikel seine Theoriebildungsgeschichte kritisch, um indeterministische Seite seiner Theorie herauszuarbeiten. Auf der Grundlage dieser kritischen Auseinandersetzung mit Marx stellt dieser Artikel die Merkmale der ökologischen Rationalität wie folgend dar;Erstens muss sie holistisch sein. Zweitens, vorausgesetzt durch die prinzipielle Unmöglichkeit einer völligen Regelung eines Gegenstands, kann die Regelung eines Gegenstands nach dieser indeterministischen ökologischen Rationalität nicht eine völlige, sondern eine möglichst größte Regelung sein. Daher muss diese Regelung durch ‘Vorsorgeprinzip’ ergänzt wer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