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원예치료와 관련된 패러다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여 최근 생명체로서의 식물에 대한 인간의 도덕적 책임, 보호할 의무 등을 제시하고 있는 식물윤리분야 최신 연구이론과 이를 바탕으로 한 이론 틀을 이미 제시하고 있는 숲ㆍ환경교육 패러다임을 연계하여 원예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중간생략). 이를 위한 근접 연구분야로 식물윤리의 연구이론과 행동원리-정의의 원리, 악행금지의 원리 들을 추출해 내어 식물을 대하는 인간의 개념적인 행위와 태도에 관한 정당한 방향을 수립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식물의 다양한 속성인 생장, 발달, 적응 및 노화와 같은 식물생활사를 원리로 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완해야 할 발전적 측면의 패러다임으로 접목해야 함을 주장한다. 이와 더불어 인간-식물 관련 분야로 패러다임 분석틀 개발과 유사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숲. 환경교육 분야에서의 숲을 바라보는 관점변화를 구체적인 원예치료 활동내용 및 주제로 연계하고자 하였다. 이때 현재 원예치료에서 인간-식물의 영향을 1차적 효용(생존), 2차적 효용(생활환경), 3차적 효용(삶의 질) 로 구분하고 있는 관점에서 식물의 4차적 효용으로서 윤리적 가치로서의 윤리실존적 관점의 영향이 포함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활동 주제는 감상적, 치료적에서 도덕적, 배려 및 상호공생적으로 전개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숲, 환경교육 등에서의 최근 패러다임으로 ‘윤리실존적 관점’ 등이 원예치료에 반영되어 ‘식물을 통해 발견해 낼 수 있는 치료적 가치를 탐구하는 일’에서 벗어나 ‘식물’에 대한 생태철학과 도적적 태도를 아울러 견지할 수 있는 행위를 가르치는 일’임을 반영하고 구체적인 활동으로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큰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how to develop a paradigm related to horticultural therapy.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new paradigm to develop horticultural therapy in connection with not only recent study theories related to ethics of plant which suggest human being’s ethical responsibilities for plants as a life and a duty to protect plants but also a forest environmental education paradigm which has already suggested a theory framework based on these recent study theorie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asonable direction of human being’s ideal behaviors and attitudes toward plants by finding out study theories and behavioral principles of plant ethics - principle of justice and principle of nonmaleficence as the research field closest to the current plant view. In addition, it is claimed to link plant lifecycle such as various plant properties including growth, development, adaptation and senescencewith a prospective paradigm to be complemented to ensure identity as a therapy program in horticultural therapy. Ethical attitude emphasizing the fact of ‘protecting plants is essential to have a right to make use of them’ has been established as a paradigm. Besides, it is intended to link change in viewpoint about plants in plant environmental education where paradigm analysis framework development and similar researches related to human being-plant are actively performed with specific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ies and subjects. In this case, it is emphasized to include the 4th efficiency(impact of ethical-existential viewpoint as ethical value) into the viewpoint that impacts of human being-plant in current horticultural therapy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1st efficiency(survival), 2nd efficiency(life environment) and 3rd efficiency(life quality). It is also emphasized to change emotion and therapy into ethical, considerate and mutual attitudes. The ‘ethical-existential viewpoint’ is reflected into plant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recent paradigm. That is, beyond the attitude of ‘exploring therapy value to be found through plants', the attitude of ‘teaching an activity of considering both ecological philosophy and ethical attitude toward plants’ must bereflected and applied to specific activitie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required for paradigm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