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oday's environmental crisis is not a simple problem to be resolved by an engineering marble or policy switch, but a fundamental problem which will never be able to be resolved without entire change of thought and value system. In placing humans endowed with reason at the center of the world, and relegating nature that lacks reason to a peripheral position subordinate to humans, modern thought essentially shared the same anthropocentric outlook as Christianity. The ecological crisis, the foremost challenge we face today, calls for a radical departure from this anthropocentric way of thinking. This article will examine the Buddhist notion of no‐self and the doctrine of dependent‐arising as a prime way to overcome anthropocentrism by deconstructing the substantive notion of self and other forms of the centric way of thinking. I will then conclude this article by examining how this Buddhist approach to ecological ethics is actually being put into practice by those engaged in Buddhist ecological movements in Korea today. Through the insights provided by wisdom and through the practice of great compassion, Buddhist ecological ethics seeks to overcome the anthropocentrism that is deeply rooted in our way of thinking and lives by freeing us from the dichotomous view of reality that divides the world into subject and object, center and periphery, and humans and nature.


오늘의 생태위기는 단순히 기술공학이나 혹은 정책전환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더 본질적이고 근본적인 문제, 즉 사상과 가치관에 대한 전환 없이는 극복될 수 없는 문제이다. 세계의 중심으로서 실체적 자아를 갖는 인간을 상정한다는 점에서 모더니즘과 기독교의 세계관은 일치한다. 그러나 생태학적 위기의 극복이라는 이 시대 최대 과제는 인간중심주의적 사고에 대한 대대적인 방향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 논문은 생태위기의 뿌리로서 기독교와 모더니즘의 인간중심주의를 재확인하고, 이를 해체하는 전범(典範)으로서 불교의 무아(無我) 사상과 연기법(緣起法)법을 고찰한다. 또한 실체적 자아개념의 해체를 바로 인간중심주의의 해체로 보며, 나아가 모든 중심주의의의 해체로 원용될 가능성으로 본다. 이러한 불교의 생태윤리 이론이 역사의 현장에서 실제로 어떻게 얼마만큼 실천되고 있느냐는 문제도 하나의 관심사이다. 이런 관점에서 제 Ⅳ장, 불교적 생태윤리의 실천에서는 한국불교의 생태 윤리적 실천의 구체적 내용을 검토한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기독교나 모더니즘의 인간중심주의뿐만 아니라 그간 차례대로 제시되어 온 환경윤리 이론들 중 모든 중심주의의 위험을 일깨운다. 불교의 생태윤리는 주(主)와 반(伴), 즉 중심과 환경이 고정되거나 치우치지 않는 공존과 공생으로서의 전체성향적(全體性向的, holotropic), 혹은 세계를 하나의 유기적 생명체로 바라보는 동체대비(同體大悲)적 세계인식에 근거한 윤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