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 역사상 최대 규모로 진행된 삼성 중공업 예인선단에 의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원유유출사고 자원봉사자에 대한 연구에서는 다양한 물음들을 던져볼 수 있으나 이 글에서는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원봉사자들이 어떤 이해관심에서 이런 활동에 참여하게 되었는지, 자원봉사자들의 관점에서 이 사고가 어떻게 인식되고 평가되고 있는지, 자원봉사자들은 자신들의 활동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등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 글의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284부로 현장방문과 이-메일을 통해 실시된 것이다. 자원봉사참여자들의 절반 가까이는 유출기름에 의해 파괴된 생태계를 하루 빨리 복원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참여하였으며 자원봉사 참여 후 고통을 함께 나누는 데서 오는 연대의식과 자원봉사 자체의 기쁨을 누린 것으로 파악되었다. 응답자들은 자원봉사자들과 시민사회단체가 사고에 가장 적절하게 대응한 반면 삼성중공업과 국회의 대응이 가장 문제가 많다고 판단하였다. 언론은 자원봉사활동 결정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을 만큼 나름대로 잘 대응했지만 가해자와 정부의 책임이나 지역주민의 주장보다는 자원봉사자에 대한 보도를 더 비중 있게 다룬 측면이 있다고 비판적으로 인식하였다. 향후 환경문제를 해결해나감에 있어서 생태적 관심을 가진 시민들의 자발성을 바탕으로 사회적 집합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시민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형태의 활동을 확대하면서 자원봉사자들을 제대로 조직화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Studies on the largest scale of volunteers for the Korea’s largest-ever oil spill by oil tanker Hebei Spirit hit by Samsung Heavy Industries can be undertaken from various perspectives. This paper is exploring several aspects, such as what is the main concern of the volunteers, how the volunteers understand and evaluate this accident, and how the volunteers evaluate their own activities, through a questionnaire analysi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n the filed and through e-mails and 284 of questionnaires have been analyzed. Approximately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involved in volunteering from the idea that the destroyed ecosystem should be recovered as soon as possible.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enjoyed solidarity by sharing pains of local residents and joy from the volunteering activity itself. Most respondents chose volunteers and civil organizations as the best agents in responding the accidents, while criticized Samsung Heavy Industries and the National Assembly were the worst. The press was seen to react appropriately in informing the terrible scene of the accident sites and drawing volunteers but it was criticized in that it disregarded irresponsibility of harmers and the government and delivered the news about volunteers more than the local residents’ concern and arguments. Findings of this paper imply that if socially collective actions based on volunteerism of citizens with ecological concern need to be drawn in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it is very important to expand direct participation of citizens and to organize volunteers appropriat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