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회적 시장경제에 토대를 둔 독일의 발전모델은 장기적인 경기침체로 인해, 형평성은 높은 반면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받아 왔다. 독일 발전모델에서 사회연대 부분은 제3부문을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인정하여 정규적인 시장 안으로 끌어들이는질서자유주의를 추구한다. 그린바우Gmbh의 예가 보여주듯이 독일의 사회적 기업은 자발적으로 지역의 문제를해결하기 위한 이니셔티브에 의한 것이지만 국가는 고용이라든가 재정의 측면에서이들을 공공정책의 대상으로 다룬다. 이는 영미 자유주의 국가에서의 민간 자원(volunteer) 영역을 사적이고 자유로운 임의의 영역으로 설정하고 이를 통해서 공공영역의 부족을 보충하려는 것과 근본적으로 다른 철학 위에 서 있다. 이는 조합주의적인복지 정책을 근간으로 하는 역사적 흐름에서 연유한다. 따라서 세계화의 조류에 적응하는자유주의적인 조치들은 근본적으로 사회적 경제의 큰 틀을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보아야 한다. GLS 연대 은행은 사회적 경제의 시장 동력을 동원하는 전형적인 독일의 방식이다. 이 은행은 사회적인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소위 사회책임투자가 조합 방식을 통해서 성공적으로 작동하는 모습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