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기후변화 문제와 세계적 경제위기 상황에서 제기된 지구적 차원의 녹색뉴딜을 위해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를 녹색화 할 필요성이 강조되고있다. 이에 따라서 저개발국/개발도상국의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면서도 온실가스 배출을 억제할 수 있는 방안으로 재생에너지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이 국제적으로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방글라데시의 그리만 샥티(Grameen Shakti), 태국-버마2) 국경 지역의 BGET, 라오스의 선라봅(Sunlabob)의 재생에너지 개발 사업 경험을 분석하였다. 이들 사업은 해당 지역의 사회적 기업 혹은 NGO에 의해서 해당 국가/지역의 기후변화, 에너지 위기, 그리고 농촌 전기화 사업이라는 맥락 하에서 진행되었다. 이들은 단순히 재생에너지 기술(설비)를 제공하는 단선적 접근을 넘어, 상대적으로 고가의 설비를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금융 서비스, 지속적인 운영·관리를 위한 기술인력의 훈련, 공동체의 참여를 통한 관리 등을 강조하면서 시스템적인 접근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이는 한국의 재생에너지 개발 협력 사업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이다.


As climate change is the global environmental crisis of all around the world,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transfer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for GHG reduction has been emphasized by UNFCCC(Unite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In terms of this, the extensive efforts of supporting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which will meet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developing countries’ energy demands and simultaneously suppress greenhouse gases’ emission have progressed. In Korea, government show up the plan that increase ‘green ODA’ up to 30% of total ODA as a part of government’s green growth policy. Especially,the East Asia partnership program which is total amount of around 2 hundred million dollars until 2012 has progressed. In this program, supporting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is important part. In this study, three experiences on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programs by Grameen Shakti (Bangladesh), BGET (Thailand-Burma border region) and Sunlabob (Laos) were analyzed. This cases raised importance of systematic approach with emphasis on financial service to make people in rural areas be able to use relatively expensive equipments, training technical professionals for sustainable operating and monitoring, managing with participation in community. These cases will give very important implications on supporting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in developing countries from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