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가장 심각한 과제인 기후변화 문제에 대해 소비 측면의 대응의 중요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기존의 소비관련 연구는 개인 단위의 행태주의 모델에 근거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대안적으로 ‘소비를 통해 차이를 만들어 내는 능력’을 현실에서 구현하고 있는 집합적 시민-소비자들의 ‘윤리적 소비’에 대한 사례연구가 최근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집합적 시민-소비자의 전형적 예로 유럽의 소비자협동조합들을 제시하며, 최근 이들이 펼치고 있는 다양한 기후변화 대응활동을 소개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은 특히 2007년 이래로 유럽 차원에서 자발적 문제의식과 실천을 통해 의미있는 기후 변화 대응 실천을 선도하고 있다. 그러나 협동조합 운동이 가진 내적 긴장과 유사하게 이들의 기후변화 대응 활동도 잠재력과 한계를 동시에 드러낸다. 결론에서 저자는 잠재력과 한계를 동시에 포착하기 위해 변증법적 절합의 사유와 구체적인 사례 연구의 실천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starts on the premise that the responses of consumption dimension are quite important against climate change as one of the most urgent problems faced by human-being. Most existing studies concerning consumption have fundamental limits due to the research approach based individual behavior model. Alternatively, there is the trend of case studies focused on collective civil-consumers’s capacities making a difference through consumption. These activities are called ethical consumption as a current consumerism wave. This study aims to present Europe consumer cooperatives as the typical example of collective civil-consumers and to introduce various responses by them against climate change. They has been leading significant activities through voluntary consciousness and various practices since 2007. Their responses, however, have both potentials and limits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intention within cooperative movement. Concludingly, I suggest the praxis of dialectical articulation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abstract as the way for overcoming the internal lim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