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 사고의 심리적 충격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PTSD 증상여부를 통해서, 2007년 12월 7일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가 지역주민들에게 미친 심리적 피해와 그 심리적 피해의 취약성변수를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년의 시차(2008년 9월과 2010년 10월)를두고 태안주민들을 상대로 조사한 PTSD 패널 통계자료를 이용했다. 조사결과첫째, 사고 이후 발생한 PTSD 증상으로부터 주민들의 회복속도가 더딜 뿐 아니라2010년 10월 조사에서는 새롭게 PTSD 증상을 호소하는 주민이 상당수 있음을알 수 있었다. 둘째, PTSD 증상을 지속·증가시키는데 있어 성별, 배우자유무,피해노출수준, 신체적 건강상태 변수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여성보다는 남성,배우자가 없는 응답자 보다는 배우자가 있는 응답자, 피해노출 수준이 낮은 응답자보다는 피해노출 수준이 높은 응답자, 사고 후 신체적 건강피해가 없는 응답자보다는 건강피해가 있는 응답자가 PTSD 증상에 더 취약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피해노출 수준이 심리적 피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사고 초기의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론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성별(남성)이 PTSD 증상을 지속·증가시키는 데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는 가부장적 문화로 인해 남성들이 가구의생계에 대한 책임과 부담을 더 크게 느낄 뿐 아니라, 사고 관련 각종 회의와 복잡하고답답한 손해 배·보상 과정에 주로 참여하면서 여성보다 억울하고 부당한 상황속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빈도가 높은 결과로 보인다. 그리고 사회자본과 같은집합적 자원이 PTSD 증상을 완화하는데 통계적으로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그만큼 이번 사고가 주민들의 삶을 압도하는 사고였다는것을 보여주는 동시에 재난복구의 지연으로 집합적 자원이 복구되지 못했다는것을 보여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서 볼 때, 현재 태안주민들이 경험하고있는 심리적 피해는 단순히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소멸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장기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eal the psychological damage which affected the residents the variation of vulnerability of such damage due to the oil spill accident of Hebei Spirit in the coastal waters of Taean, Choongnam on 7 Dec 2007 by checking the symptom of PTSD which directly shows post‐traumatic psychological shock. For the purpose, statistical data of PTSD panel which examined the residents as subjects for 2 years (Sep, 2008 to Oct, 2010) was utilize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first, it could be known that the rate of recovery of the residents’ PTSD symptom which occurred after the accident was not only slow, but also, there was considerable number of residents who newly complained of PTSD symptom in the Oct, 2010 investigation. Second, in regards to maintenance · increase of PTSD symptom, affecting variations showed as gender, marital status, level of exposure to damage, and physical health condition in the greatest order. That is, it was revealed that the former respondents were more vulnerable than the latter to PTSD symptom as follows; male than female, those with spouse than those without one, those with high exposure to damage than those with lower exposure, and those with damage to health than those with no damage. Such result is different to early previous studies which claim that the level of exposure to damage had crucial effect on psychological damage. Especially, in the research, gender (male) applied as the greatest factor in maintaining · increasing PTSD symptom. Such seems to be the outcome of not only male’s greater feeling of responsibility and burden towards household and livelihood due to patriarchal culture, but also, the high frequency of direct exposure to more depressive and unfair situation than female while mainly participating in various meetings related to the accident and the complicated and uneasy procedure of compensation. And, it showed that collective resource such social capital did not have statistically special effect on reliving PTSD symptom. Such presents that the accident was something which overwhelmed the lives of the residents, and simultaneously, that such collective resource did not recover due to delay of disaster recovery plan. Viewing the study result in general, the psychological damage the residents of Taean are experiencing is not something which can be cured through time, but has a possibility to extend over a long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