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한일장신대학교 SSK-NGO연구단이 개발한 시민행동지수(HASK CIA: Civic Action Index)라는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환경NGO 일반의 운동역량을 계량적 수준에서 측정해 보는 것이다. HASK CAI는 시민운동가들과 관련 지역전문가들이 참여하는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사회운동성, 지속가능성, 환경적응성, 정치·제도적 조건 등 4 개 하위 차원으로 구성하였다. 사회운동성을 측정하는 문항들 중에서 환경영역은 직접행동과 정부정책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서 우호적으로 평가하였다. 지속가능성의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는 단체의 재정안정성은 높지 않았지만, 단체의 재정을 정부보조금이 아닌 회원회비에 의존하고 있어 활동의 자율성과 독립성의 물적 토대를 확보하고 있었다. 환경적응성을 보면 로컬푸드, 마을공동체운동 등 풀뿌리운동에 대해서는 일정한 대응역량을 갖추고 있었지만, 현재 한국사회의 주요한 사회문제인 사회양극화 문제에 있어서는 대응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경운동의 고유한 활동과 사회양극화 해소를 위한 활동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가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사회양극화 이슈가 복지영역을 넘어 여성영역, 권력감시영역, 대안사회영역 등 다양한 운동영역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과는 별개로 환경영역은 사회양극화 이슈에 대해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었다. 끝으로 NGO를 둘러싼 외부 환경인 정치·제도적 조건을 보면, 환경영역은 지방정부와의 거버넌스·파트너십에 대해서 다른 운동영역보다 높게 평가하였는데, 이는 갈등 요소가 덜한 환경문제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와 환경NGO간 협력관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온 결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the measuring tool of HASK CIA (Civic Action Index) and measure environmental NGOs’ activity capabilities quantitatively in general. CAI consists of four subareas, social activism, sustainability, environmental adaptability, and political•institutional opportunity, through FGI (Focus Group Interview) conducted to experts and civic activists participating. Among the questions to measure social activism, the area of environment was evaluated favourably regarding its effects on direct behavior and governmental policy. Although the financial stability of groups, the core of sustainability, was not high, the groups rely on member fees, not governmental subsidies, so they are equipped with material grounds for activity autonomy or independency. In terms of environmental adaptability, they are equipped with some capabilities to cope with grass roots movement like local food or community movement, but they have less capabilities to cope with the problems of social polarization which are the main problems of Korean society these days. This seems to be because there is some distance between the unique activity of environmental movement and activity to root out social polarization. Lastly, concerning political•institutional opportunity, the area of environment was evaluated more highly than other areas of movement in terms of governance•partnership with local governments. This seems to have been resulted from the fact that centering around environmental problems tending to have less conflict, there has been cooperative relationship constantly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environmental m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