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15년 6월 6일 전 세계 77개국에서 동시에 개최된 ‘유엔기후변화협상에 관한 세계시민회의’라는 이름의 시민참여 프로그램에 한국도 동참하였다. 전 세계에서 9,000여 명의 시민들이 같은 날 기후변화라는 동일한 주제를 놓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토론한 다음 그 결과가 그 해 말에 개최될 유엔기후변화협상 과정에 반영되기를 촉구했는데, 여기에 한국의 시민들도 세계 시민들과 어깨를 나란히 한 것이다. 본 논문은 지구적 기후 거버넌스 만들기의 한 시도라고 할 수 있는 2015년의 유엔기후변화협상에 관한 세계시민회의의 조직 배경과 특징을 먼저 살펴본 다음 회의의 구체적인 전개과정 및 숙의를 통해 도출된 시민 의견들을 정리하고, 행사에 대한 참가시민들의 평가와 회의의 사회정치적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분석 결과, 다른 나라 참가시민들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참가시민들도 유엔기후변화협상과 관련하여 매우 진취적인 의견들을 제시하였고, 세계시민회의 행사의 진행과정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과 전 세계 참가시민 모두 기후변화 정책에 대한 시민참여의 중요성을 매우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바로 지구적 기후 거버넌스 구축에 대한 시민들의 강력한 의지를 말해주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South Korea participated in World Wide Views on Climate and Energy held on 6 June 2015, which was a structured citizens' deliberation and consultation organized in a global scale by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nvolving almost 9,000 citizens in 77 countries. 70 Korean citizens from the whole country deliberated for a full day with other citizens and voted on the questions designed to reflect policy controversies at the UN COP negotiations about climate change which was supposed to be held in Paris in December 2015. WWViews can be considered as an effort to build global climate governance in that the WWViews event aimed to give a broad sample of citizens from across the earth the opportunity to influence global climate policy. This paper looks into the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vent, analyzes the deliberation process and results, and finally tries to evaluate the individual and socio-political impacts of the event from the various 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