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원주의 협동운동과 생명운동을 생태민주주의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대안적 발전의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목표가 있다. 원주의 협동, 생명운동의 특성은아래와 같다. 원주 운동은 민주화운동과 협동운동의 주체들이 1980년대 이후 생명담론을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의 자립과 자치를 추구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원주에서는 장일순 등 운동가들의 지적, 도덕적 리더십이 세대를 넘어 대안적 헤게모니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원주 운동은 지역을 중심에 놓는 운동이고, 협동조합간 협동이 활발하며, 정치적으로 지역자치를 추구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원주 운동의 발전원인은 운동가들의 지적, 도덕적 리더십, 협동을 통한 사회적 자본의 강화협동의 그물망의 강화와 확대를 들 수 있다. 원주운동은 생명과 생태의 가치를 중심으로 시민들의 참여를 통해 평등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것을 추구하고 있고 이런 노력들이 부분적으로 성과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생태민주주의의 한 사례라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cooperative life movement in Wonju, Ganwon province, Korea in terms of ecological democracy. Cooperative life movement in Wonju was firstly developed as a democratic local development movement and it was changed to life movement in the 1980s. It has been developed as a local social economy movement. An alternative social leadership has been formed and inter-cooperatives collaborations are well organized in the history of this movement. This movement is local based and autonomy oriented. The reasons why this movement was successful are formation of intellectual and moral leaderships, social trust, strong network of human beings. This movement can be a good case of a local model of ecological democracy, because activists have tried to realize the value of equality, deliberation, life, independence, autonomy and the results were partially success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