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내 노인가구의 사회·경제적 취약성과 전체 인구 대비 노인 가구 비율의 증가를 인식하고, 2014년 월간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이용해 노인포함가구와노인비포함가구의 에너지 소비 및 빈곤 현황을 파악하였다. 노인비포함가구, 자녀동거노인가구, 노인부부가구, 독거노인가구를 포함한 가구유형별로 에너지 빈곤의 주된 원인이라 할 수 있는 지불가능성, 접근가능성과 정보의 접근성 및 수용성을대표할 수 있는 대리변수들(가구주의 학력수준, 거처구분 등)에 대해 소득대비에너지지출비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독거노인가구에서 소득대비 연료비 비율이가장 높았고, 노인포함가구 가운데 저소득층에 해당하거나 읍면지역에 거주하거나 학력이 낮거나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가구에서 소득대비연료비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노인포함가구는 노인비포함가구보다 전기, 등유, LPG의 의존도가 높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에너지 빈곤 해소 프로그램의 우선 적용대상과 이행 시 각 가구 유형 및 사회적인 요인에 따라 지불가능성이나 접근가능성개선 등 정책수단 적용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Recognizing the socioeconomic vulnerability of the elderly households and the in- creased share of elderly households compared to the total population 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s the patterns of energy consumption and fuel poverty of the elderly households using 2014 Household Survey Data (Monthly).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oportions of energy expenditure to total income by household type including non-eld- erly households, living-with-children households, elderly-couple households, and liv- ing-alone households. Also, this study examines how different the proportions are by house- hold type depending upon various socioeconomic factors, which are proxies for main causes of energy poverty including affordability of energy, accessibility to energy services, and acces- sibility to information of energy poverty relief programs. The study finds that elderly households relatively spends more on energy than non-eld- erly households; specifically, living-alone households spent the largest share of income among household types. In addition, the ratio of fuel expenditures to the total income is relatively higher in low-income, living-rural-area, low-educated or living-in-single-house elderly households. Furthermore, elderly households depend relatively more on electricity, kerosene, and LPG than non-elderly househol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regarding how energy poverty relief program needs to be implem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