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전환연구의 관점에서 에너지전환의 전략적 니치로서 공동체에너지와 그 대표적인 형태로서 에너지협동조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에너지시티즌십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면서, 에너지협동조합을 에너지시티즌십이 형성되는 ‘구성적 공간’이자 그것이 발현되는 ‘창조적 공간’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이 글은 전반적으로 ‘전환연구’를 이론적 배경으로 삼고 있으며, 여기에 더해서 공동체에너지와 에너지시티즌십에 관한 선행 연구를 활용하였다. 사례분석을 위해서 우선 영국에서 이루어지는 에너지전환 정책의 배경과 현황을 검토하면서, 영국 정부의 공동체에너지 전략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런 검토를 통해서 영국의 공동체에너지에 대한 담론과 실험을 주도하는 것은 여러 환경단체들과 함께 협동조합 진영이며, 공동체에너지의 유력한 유형이 에너지협동조합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리고 영국 에너지협동조합의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하여 능동적인 에너지시티즌십이 어떻게 발현되는지 살펴봤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에너지전환과 에너지협동조합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article analyzes community energy, as a niche strategy for energy transition, and renewable energy cooperative,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orms of community energ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energy-citizenship and to understand renewable energy cooperative as a constructive and creative space for such energy-citizenship. For this purpose, we first reviewed previous research on community energy and energy-citizenship, with transition studies as the general theoretical background. Then, we performed a case study of the energy transition policy in the U.K., focusing on the government's strategies for community energy. Based on our examination, we came to conclude that renewable energy cooperatives, along with environmental NGOs, are leading the community energy discourse and practice in the U.K., and that active energy-citizenship is manifested in many cases of the renewable energy cooperatives. Finally, we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olicy and practice of energy transition in Korea based on transition studies and the concepts of community energy and energy-citize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