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우선, 최근 형성되고 있는 환경에 대한 이해의 틀 두 가지를 살펴 보고나서 이 두 이론의 접점을 탐구하고자 한다. 첫째는 십여 년쯤 전 새롭게 등장한 환경현상학이다. 환경현상학은 환경담론 분야에서 새롭게 구성되고 있는 인류의 공통 경험을 해석하기 위해 창안되었다. 다만 아직 국내외 환경사회학 및 과학기술학(STS)분야에서는 환경현상학과 연관된 논의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에, 본고의 앞부분은 이 새로운 사상조류를 검토해 보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환경현상학에서는 기술과학을 현존재의 경험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한다. 인간이 기술과학을 잘못 활용하여 현재의 환경위기가 발생하였다면 인간과 기술 사이에 올바른 거버넌스의 관계를 구축하고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 글에서 검토하고자 하는 두 번째 이론은, 과학기술학계에 등장하여 사회학, 인류학, 인문지리학, 생태학 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행위자-연결망 이론(ANT)이다. 행위자-연결망 이론은 기술과학과 사회의 상호작용을 해석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론을 제공한다. 특히 행위자-연결망 이론의 주요 이론가인 브루노 라투어의 사상은 인간과 환경 및 기술과학에 대해 근대주의를 너머서는 새로운 이해의 관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환경 거버넌스를 위해 인간과 세계의 관계를 재정립하는데 유용한 도구를 마련하고 있다. 우리는 이 두 가지 이론의 접점을 모색해보고, 그것이 자연과 사회, 역사적으로 구성된 인간 주체와 물리적인 시간 속의 비인간 객체 사이에 프래그마토고니(pragmatogony)의 새로운 연결고리를 제시할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explain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wo recently emerging theories about society and nature. These theories both deal with new relationship between subjects and objects; human actors and nonhuman actants; values and facts. First theory is eco-phenomenology which emerged 10 years or so ago. In general, phenomenology regards the role of technology highly important to the experiences of Dasein. If man has developed incorrect or bad relationship with technology, and it resulted in current ecological crisis, then we need to redesign the link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Actor-Network Theory (ANT), the second theory that this article analyzes, is good at this task. ANT has been evolved since 1980’s by John Law, Michel Callon and Bruno Latour. One of its developers, Latour has been developing a non-modernist viewpoint on our nature and culture, namely amodernism and compositionism. Latour’s idea is to deny the old dichotomy that the modernism has been claimed. He created a neologism, pragmatogony to assert a new direction from nature to culture instead of from culture to nature. He also developed a theory of ecological politics to build a Parliament of Things to initiate Dingpolitik. We will research into these two theories, to see if a meeting between them can be arranged. When achieved, this new conjoined approach will help us to build a better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