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베이컨을 비롯한 근대의 철학자들이 관심을 가졌던 문제들 중 하나는 학문 분류의 문제였다. 새로운 지식들이 생겨나고 새로운 탐구 영역이 열린, 지적으로 역동적인 시기였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의미 있는 문제이다. 통섭이나 융합과 같은 새로운 방법론이 회자되고, 새로운 학문들이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오늘날의 학문 현실은 여전히 역동적이다. 후설 현상학 역시 학문 분류의 문제를 중요한 과제로 생각한다. 이는 후설이 자신의 현상학을 일종의 학문이론, 내지는 제1철학으로 간주하였기 때문이다. 학문을 분류하는 문제는 이중적인 과제를 갖는다. 하나는 역동적인 학문 현실을 설명하는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우리가 학문에 대해 갖고 있는 기대를 통해 학문 현실을 평가하는 문제이다. 본 논문은 이 두 관점을 후설 현상학을 실마리로 해서 구분해보고자 하였다. 이는 자칫 두 관점이 착종될 경우, 학문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일은 용이하지만, 학문의 변화와 발전을 설명하는 데는 약점을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The problem of classification of sciences is one of problems for which modern philosophers showed enthusiasm. Modern times is the most dynamic period in history of science in the sense that new sciences and knowledges come into being. In the same sense, the problem of classification is still a live issue in these days. New methods of scientific research, ‘Convergence’, ‘Conscilience’ etc., and new sciences have offer us new knowledges about our world as Bacon’s period. E. Husserl knew the importance of that problem, because that he regarded his phenomenology as the first philosophy, a science of sciences. The problem of classification has two task to answer the questions ; how we can explain the real dynamic situations of sciences and how we can evaluate the roll of sciences in relation to our traditional conception of true sciences. In this article, I have tried to explicate the meaning of two perspectives that was implicated in the problem of classification of sc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