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적 ‘관계’의 생성과 의미를 질베르 시몽동의 개체화와 기술에 대한 사유에 입각해서 로이 애스콧의 네트워킹 공동체인 ‘텔레노이아(telenoia)’를 예로 들어 고찰한 것이다. 시몽동은 개체발생의 조건과 과정에 주목하고 정보를 미리 주어진 안정적인 형태가 아니라 준안정적인 퍼텐셜 시스템의 긴장으로 간주하였다. 변환작용을 통해 정보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장(場)이고, 네트워킹 참여자들은 이러한 실행적인 장(場)에서 탈중심적인 과정적 개체가 되는 동시에 타자들과 관계 맺는 감성적이고 지성적인 집단이 될 수 있다. 시몽동의 발생론적 철학을 특징짓는 방법론으로서 교환역학은 상보적인 한 쌍으로 된 위상의 유비적인 관계 구조를 지닌다. 즉 교환역학은 퍼텐셜 에너지를 교환하는 관계적 작용을 통해 구조와 형태보다는 구조와 작용 사이의 교환가능성을 의미하고 구조들의 서로 다름 사이의 대립을 초월하고 생성을 존재의 차원으로 이해하게 해준다. 개체는 비결정적인 자연을 전개체적인 것으로 수반하기 때문에 자기 자신과의 내재적, 사회와의 외재적인 관계맺음에 의해 사회적인 것에 통합된 ‘관(寬)개체적인 것’을 구축한다. 이와 같은 새로운 사회적⋅집단적 개체로서의 관(寬)개체적인 것은 온라인상에서 사용자들의 네트워킹을 연결해주는 ‘텔레노이아’를 확장된 의식 집단으로 이해하게 해준다. 가상의 의식 공동체로서 ‘텔레노이아’는 개인의 폐쇄된 글쓰기 넘어 담론적인 정보주체로서 새로운 집단 정체성인 사회성의 모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또한 시몽동은 인간과 기계에 대한 철학의 균형 잡힌 반성적 사유야말로 문화가 기술결정주의와 환원주의에서 벗어나 기술공학을 융합하는 적합한 길을 열어줄 수 있다고 강조한다. 요컨대 비록 시몽동이 기술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했을지라도, 정보기술문화에 대한 철학이 지닌 가치판단의 역할을 간과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Cet étude est la recherche sur la genèse et le sens de la relation de l’operation réciproque dans l'art digital en prenant par exemple ‘telematics art’ de Roy Ascott. Simondon fait des recherches sur les conditions et le procès sur la genèse de l’individu. Il ne considère pas l’information comme la forme stable qui est d’avance donnée, mais comme le système des potentiels métastables. L’information est le champ qui a la possibilité des divers transformations. Il en suit que les participants des réseaux deviennent en mêmes temps des individus en procès et le collectif émotionnel et intellectuel. L’allagmatique qui caractérise la méthode de la philosophie chez Simondon a la structure relationnelle et analogique des phases complémentaires. Cet allagmatique designe la possibilité de l’échange entre la structure et l’opération à travers l’opération relationelle, donc l’allagmatique transcende la contradiction entre des indifférences. Il en résulte qu’il est la dimention qui permet de comprendre la genèse comme être. L’individu qui transporte la charge du préindividuel comme la nature d’indéterminé. Ainsi l’individu constitue le transindividuel relié au social par la relation double de l’intériorité à lui-même et de extériorité à la société à travers on-line. Le transindividuel qui est inventé comme nouveau individu social et collectif, nous permet de comprendre ‘telenoia’ comme le collectf de la conscience étendue. ‘Telenoia’ qui est la communauté virtulle de la conscience suppose le modèle de la nouvelle sociabilité qui devient le sujet de l’imformation discursive par delà l’éciture fermée de l’individu. Par conséquent, la pensée de Simondon souligne que la pensée réflexive ouvre la voie convenance pour la convergence de la culture et la technologie au-delà du déterminisme technologique et du réductionnisme. En effet, même si Simondon se situe à la position amicale pour la technologie, nous pouvons constater qu’il ne néglise pas le jugement réflexif et le rôle de la philosophie contre la culture technologi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