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paper examines the features on Korean welfare consciousness and welfare policy of Lee Myung-bak Administration. I focus on the values of community are important the institution of welfare. Above all, happy families and strong home makes society well-being. I think Singapore have more unique characteristics than other welfare state, that is value of family, harmony of multicultural, multiracious, multireligious socity. Therefore Singapore as Confucianism welfare state may have important meamings for the future of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The change for multicultural society is preceeding in Korea. We must prepare the vision and policy of a new welfare for strong society. I am sure that the best model of welfare state must have the sharing of value live-with, social consensus. And a confidence on Government, social mutual confidence makes best welfare role. Clean politics and government, clear tax policy, responsible society construct social confidence, spiritual welfare.


This paper examines the features on Korean welfare consciousness and welfare policy of Lee Myung-bak Administration. I focus on the values of community are important the institution of welfare. Above all, happy families and strong home makes society well-being. I think Singapore have more unique characteristics than other welfare state, that is value of family, harmony of multicultural, multiracious, multireligious socity. Therefore Singapore as Confucianism welfare state may have important meamings for the future of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The change for multicultural society is preceeding in Korea. We must prepare the vision and policy of a new welfare for strong society. I am sure that the best model of welfare state must have the sharing of value live-with, social consensus. And a confidence on Government, social mutual confidence makes best welfare role. Clean politics and government, clear tax policy, responsible society construct social confidence, spiritual welfare.


한국 사회의 인구 구성이 변화되면서 다문화사회가 대두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 국제이주노동자, 여성결혼이민자등의 증가로 다양한 문화와 인종을 가진 사회의 구성원이 늘어나면서 다문화사회에 접하게 되었고, 다문화가정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이 이미 다인종 사회,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향후 이들의 2세 3세로 이어지게 될 때 한국 사회의 일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다문화사회에 어떻게 대비해야 하고, 앞으로 우리 사회가 어떻게 변화하게 될지에 대한 면밀한 탐색과정과 준비과정을 거치지 못했다. 이러한 환경 변화와 함께 한국 사회는 국민 복지에 대한 새로운 문제를 제기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자조주의라는 원칙아래에서 가부장제와 가정을 통한 복지부담 그리고 복지비용의 개인적 부담 의무화 등 서구적 개념의 복지국가와는 차별성을 지닌 사회보장제등 독특한 복지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싱가포르라는 하나의 모델을 통해서 그 가능성의 한 축을 찾아보기로 한다. 싱가포르 복지의 특징과 경험을 되새기면 자조주의 정신과 가족공동체 의식을 통한 건전한 근로의식 제고를 위한 사회적 합의 유도정책으로 볼 수 있다. 싱가포르의 경험을 참고로 하여 가족적 가치와 자조정신을 통한 상생적 복지, 건전한 공동체 의식과 근로의식, 개방성과 다문화, 다종교사회의 공존 가능성을 추구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