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내가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제는 헤겔이 《정신현상학》에서 서술한 죽음의 의의를 노동과 에로티즘과 관련지어 평가해 보는 것이다. 헤겔의 이 유명한 저서가 실존적인 개념들을 담고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코제브는 “헤겔의 철학은 죽음의 철학이다.”라고 단정 짓고 있다. 헤겔은 죽음의 절대적 공포로 인해서 인간은 노동할 수밖에 없으며, 바로 이런 노동 활동을 통해 인간은 자신의 삶을 반성하고 스스로를 도야하고 상승하게 만들 수 있음을 역설하고 있다. 헤겔에게 있어서 인간이 진정으로 자기가 무엇인지를 알게 되는 주요한 관건은 죽음에 대한 자기의식과 이로부터 결과하는 강제적인 노동에 있다. 그러나 죽음은 노동뿐만 아니라 섹스와도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인간의 총체적인 삶은 섹스와 노동이라는 양립 불가능한 세계의 순환성 속에 자리 잡고 있다. 그래서 바타이유는 헤겔이 죽음을 오로지 노동이라는 단조로운 일원성의 세계로 축소시켜버렸다고 비판한다. 바타이유가 볼 때, 노동의 근원으로서의 죽음에 대한 공포만이 있고 에로티즘의 근원으로서 죽음이 없다는 것이야말로 《정신현상학》의 심각한 결격 사유이다. 《정신현상학》에는 도야와 아름다움을 향한 상승과 비축만이 있고, 더럽힘과 무익한 상실과 소비란 존재하지 않는다. 바타이유에 의해 강조되고 있는 죽음과 에로티즘의 관계는 살과 뼈로 이루어진 인간의 세계를 결국 의식이 담아내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겨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유형의 비판은 식상한 것이긴 하지만, 앞으로도 계속 반복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바로 거기에 《정신현상학》이 지양할 수 없는 어떤 삶의 요소가 놓여 있기 때문이다. 현실적인 역사에서 패배한 사람들이 어떤 위로의 만가(輓歌)를 듣기를 원한다면, 그것은 결코 《정신현상학》에서는 찾을 수 없을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It is well-known that existential concepts are embodied in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Kojève concludes that “the dialectical or anthropological philosophy of Hegel is in the final analysis a philosophy of death." In his famous book Hegel emphasizes that man is forced to work due to absolute fear of death and that this activity of work makes man reflect his life and build human world. For him, it is self-consciousness of death and resulting inevitability of work that leads human being to recognize what human being is. But this is not all. Death is related to sex as well as to work. The totality of human life is constituted of the circularity of incompatible worlds, that is, of work and erotism. So Bataille criticizes that Hegel reduces death to a just monotonous work dimension. In his view, there is only death as a source of work but no death as a source of erotism in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This is what Bataille believes as a fatal weakness in the experience of consciousness described in Phenomenology of Spirit. We can not find useless loss, unproductive consumption and impurity in the dialectical process of sublation because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is a kingdom of spirit searching for only productive investment, cultivation and beautiful ascension. In short, Bataille points out that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has an intrinsic inability to comprehend human total life consisting of flesh and blood. Of course this kind of criticism is familiar and banal. But I think that we shall be met the same thing in the future as long as there are life elements which could not be employed for the development of spir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