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茶山 丁若鏞(1762-1836)의 『詩經講義』는 正祖의 詩經條問 800여條에 대한 答案의 형식으로 저술된 작품이다. 다산은 『시경』에 대한 연구의 방향을 字義의 訓詁에 두고 있다. 정약용은 정조의 주요 질문을 답하는데 주희의 설에 대해 완곡하게 비판하는 태도를 유지하였다. 다산은 詩序의 관점을 시경의 단순한 고증이 아니라 현실 통치에서 응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정조는 시경문제가 난해하게 된 핵심이 詩序의 이해에 달려있다고 여겼다. 다산은 시편의 실제 비평에서 소서와 함께 朱熹의 『詩集傳』의 새로운 주석을 대부분 그대로 따랐으나 주자와는 달리 ‘陳古刺今’의 원리를 알아야 시편을 이해할 수 있다고 하였다. 다산이 주자의 反詩序觀을 따를 수 없는 중요한 이유는 주자의 淫詩說 때문이다. 음란한 시들에 대해 주자는 음란한 사람들이 지은 것이라고 하였고, 다산은 음란함을 풍자하기 위해 현인이 지은 시라고 하였다. 주자는 교화를 중시했다면 다산은 풍자의 뜻을 강조하여 모시 대서의 ‘下以風刺上’의 뜻을 취하여 주자의 논조를 완곡하게 비판하였다. 다산은 모시서의 문제에 대해 옛 문헌을 널리 고증하여 증거가 있는 것만을 가려서 따른다면 실수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하여 치밀한 고증을 강조하였다. 다산이 생각한 시의 근본 기능은 정치지향적인 것으로서, 현명한 아랫사람이 통치자의 잘잘못을 풍간하고 비판하는 구도를 지닌 것으로 이해했다. 시경의 시들은 군신과 붕우 사이의 일을 남녀간의 말에 의탁하여 풍자한 것으로 파악하여 小序의 美刺觀點을 긍정하고 있다. 이는 다산은 시를 통해 부조리한 현실을 비판하는 기능을 강조할 때 『시경』은 자연히 『춘추』와 같은 의의를 지닌 것으로 이해하였기 때문이다. 시는 한 시대의 현실 상황과 治亂을 그려 냄으로써 참다운 정치의 도리를 실현하는 데 기여한다는 것이다. 다산의 정밀한 훈고와 고증의 방법이 강한 경학 이해는 이전의 의리 위주의 시경론과 구별된다. 또한 현실의 모순을 타파할 수 있는 비판적 언어로써 『시경』을 이해한 점이 청대 고증학과는 다른 점이다. 다산의 詩經觀은 諫書의 도를 밝히는 것으로 시를 통해 時政의 모순을 諷諫하고 批判하는 기능에 두었다. 다산은 詩序의 美刺勸懲의 기능을 한층 강조하였는데, 『시경강의총론』에도 이를 반영하였다.


SiGyongGangEu(詩經講義) of DaSan(茶山) Jeong YagYong(丁若鏞) was an answer sheet to JeongJo(正祖)'s 800 questions of SiGyong(詩經). DaSan stressed the exegesis of the words in SiGyong. DaSan had a critical point of view to the JuHui(朱熹)'s theory. He interpreted the preface of SiGyong as an application to the actual government, not a simple commentary. The attitude of DaSan's study of Confucian classics was different from the moral theory of SiGyong. Otherwise he developed bibliographical and exegetical method to interpret SiGyong. Also He was different from the Cheong(淸)'s scholiast. He understand SiGyong as a critical language to break the inconsistency of real world. The point of DaSan's undertanding SiGyong was like the tradition of the remonstrance through painting. He emphasized on the implicit social satire through the poetic words. The interpretation of the preface of SiGyong also reflected his thought.


SiGyongGangEu(詩經講義) of DaSan(茶山) Jeong YagYong(丁若鏞) was an answer sheet to JeongJo(正祖)'s 800 questions of SiGyong(詩經). DaSan stressed the exegesis of the words in SiGyong. DaSan had a critical point of view to the JuHui(朱熹)'s theory. He interpreted the preface of SiGyong as an application to the actual government, not a simple commentary. The attitude of DaSan's study of Confucian classics was different from the moral theory of SiGyong. Otherwise he developed bibliographical and exegetical method to interpret SiGyong. Also He was different from the Cheong(淸)'s scholiast. He understand SiGyong as a critical language to break the inconsistency of real world. The point of DaSan's undertanding SiGyong was like the tradition of the remonstrance through painting. He emphasized on the implicit social satire through the poetic words. The interpretation of the preface of SiGyong also reflected his thou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