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매천은 조선조 말과 대한제국 시기의 당대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는 많은 산문을 창작한 산문의 명가이다. 그는 다양한 양식의 산문을 창작하면서 시대적 요구와 특색이 반영된 특유의 산문관을 폈다. 본고는 산문 창작에 대한 매천의 시각을 분석함으로써 매천 산문을 종합적으로 연구함에 있어 심도 있고 체계적인 접근을 기하고 한문학사에서 산문작가로서의 정당한 자리매김을 하는 계기로 삼는데 그 의의가 있다. 매천은 國難이란 격변의 시기를 살면서 그 시대적 현실을 逼眞하게 자기의 시각에서 문학에 담고자 하였다. 이는 시대적 風氣의 차이에 의해서 시대마다 각 시대의 독자적 문학이 있고, 작가는 자기가 살고 있는 시대의 풍기에 구속되기 마련이므로 각기 그 시대를 형상화하는 ‘一代之文’을 할 수 밖에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매천의 ‘一代之文’論은 한마디로 시대의 ‘眞’을 추구하는 산문론이라 할 수 있다. 그 특색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매천은 擬古的 작풍을 비판하였다. 따라서 매천은 反擬古로 ‘眞境’ 묘사를, 자기 문학의 성취로 ‘眞我’를 추구하였고, 그의 구체적 작품에서는 현실주의적 경향을 띄게 되었다. 燕巖 朴趾源과 明의 袁宏道도 의고주의 작풍에 대한 비판과 함께 새로운 산문관을 추구한 결과, 매천의 산문관과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매천은 격식에 구애됨이 없는 胸中의 진심을 토로하는 산문을 추구하였다. 그러므로 그의 산문은 ‘眞氣坌涌’의 강한 비판적 성향을 보였다. 매천은 박지원의 문장을 ‘奇偉, 神變’이라 칭송하면서도 燕巖文에서 ‘矜莊’, ‘慘憺’한 느낌을 받을 수 없다고 비판하였다. 이는 작가가 살던 시대 상황이 달랐기 때문이며, 매천의 ‘一代之文’論에 부합하는 주장이기도 하다. 매천이 창작한 우국충절을 주제로 한 산문들은 시대를 반영하는 ‘矜莊’하고 ‘慘憺’한 대표적 작품들이다. 셋째, 매천은 문장의 근본으로서 經世에 유용한 학문과 志士的 자세를 강조하였고, 스스로도 이를 추구하여 經世的 문학과 節義 문학을 창작하였다. 매천은 茶山 丁若鏞, 荊川 唐順之, 冰叔 魏禧의 학문적 성취와 지사적 삶을 높이 샀고 그들의 문장을 높이 평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review the theory of prose, through which Hwang Hyeon(黃玹)(1855~1910), known as Maecheon(梅泉) advocated a theory of prose that reflected the requir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Daehan Empire. First, Maecheon criticized the reminiscent writing style. Maecheon described ‘a Real Condition’ for writing and pursued ‘a Real Self’. Therefore, his practical products had a tendency to show aspects of Realism in them. His pursuit of ‘a Real Self’ was similar to that of Park Ji-Won(朴趾源) and Yuan Hongdao(袁宏道). Second, Maecheon pursued prose that could expose one’s real heart. Because of this, his prose tended to have aspects of strong criticism. Citing the writings of Park Ji-Won and Yuan Hongdao, Maecheon commented on how his own writings were similar to theirs. However, he criticized the writings of Jiwon Park because he could not find ‘solemnity’ and ‘distress’ in them. Third, Maecheon emphasized practical studies in statecraft and a patriotic attitude as the essence of writings. For this reason, he highly valued the literary achievements and scholarly lives of Jeong Yak-Yong(丁若鏞), Tang Shunzhi(唐順之) and Wei Xi(魏禧). He himself also produced patriotic literary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