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의 성과를 토대로 감정노동의 구성변수로 감정적 노력과 감정적 불일치로 설정하였으며, 이들 변수들이 직무스트레스를 거쳐 직무만족에 유의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적 경로관계를 구축하였고 사회적 지지와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개념적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개념적 연구모형과 경로관계를 경험적 연구결과로 연결하기 위하여 J지방청 소속 경찰공무원을 비롯하여 J지방청 관할 8개 경찰서에 근무하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회수된 자료를 통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감정적 불일치가 직무스트레스 증가를 가져오지만 사회적 지지와 직무자율성을 동반한 감정적 노력은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둘째, 사회적 지지(상사지지, 동료지지)와 직무자율성의 각 조절변수는 개별적으로 뿐만 아니라 상호 동시적으로 조합되어 경로관계에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것이다. 셋째, 대부분 선행연구들은 감정노동의 양면적 결과를 주장하였듯이 이 연구에서도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대해 정(+)의 효과를 가지고 직무스트레스에 대해서는 상황(조절변수의 정도)에 따라 부(-)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police officials’ emotional labor, on-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 conceptual research model for empirical analysis is identified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 and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model utilizes the emotional effort and emotional dissonance aspects of emotional labor as independent variables, job stress as the mediating variable, job satisfac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social support (of seniors and colleagues), and job autonomy as moderating variables. Each of the factors of the conceptual research model are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used to survey police officers of ‘J-province’ police ag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dissonance is connected to increased job stress but emotional effort combined with social support and job autonomy reduces job stress. Second, each of the variables can impact upon the path relations of the research model, when applied both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with the moderating variables. Third, while most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emotional labor has positive and negative consequences, this study has found that emotional labor has the positive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the negative effect of job stress, depending on the situation (degree of the moderating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