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불법복제 소프트웨어의 사용 원인을 Q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불법복제 소프트웨어의 사용에 대한 32개의 진술문을 선행연구와 관련자 인터뷰를 통해 구성하였다. 진술문을 바탕으로 30명의 공무원, 소프트웨어회사 직원, 학생, 교수, 연구원, 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Q 질문조사를 하였다. 분석결과 불법복제 소프트웨어의 사용에 대한 4가지 유형의 서로 다른 인식을 확인하였다. 4가지 유형은 긍정적 효용중시형, 처벌강화형, 부정적 효용중시형, 규범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불법복제 소프트웨어의 사용에 대한 상이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4가지 유형 모두 불법복제 소프트웨어의 사용은 불법이고 옳지 못한 행동이며, 이러한 현상은 사회 구조적인 요인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불법복제 소프트웨어의 사용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구조적인 접근의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erceptions of illegal software use by using Q methodology.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software piracy and interviews, 32 Q statements were developed and Q sorts were collected from 30 respondents, including public officials, employees from multiple software companies, students, professors, researchers and the public. The results illustrate that there are four different Q factors, namely positive utility focused type, enforcement of punishment type, negative utility focused type, and norm type. Despite different perceptions of software piracy, all respondents admitted that the use of illegal software is not only against the law but also unjust. However, a theme that emerged was that the illegal use of software is attributable to socio-structural factors. Consequently, consistent policies devised from a structural approach seem necessary in order to reduce the use of pirated software.